게시판

기관지 천식에서 니겔라 사티바의 의학적 이점: 문헌 검토

beautender 2024. 6. 7. 11:15

 

오늘은 미국 국립 생명공학 정보 센터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에 게제된 "기관지 천식에서 니겔라 사티바의 의학적 이점: 문헌 검토"에 대한 자료를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원본의 출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111118/

Medicinal benefits of Nigella sativa in bronchial asthma: A literature review

Nigella sativa L. (NS) seeds, known as black seed, is a spice and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used in various diseases including bronchial asthma. This review aimed to assess the studies supporting the medicinal use of NS in asthma and to highlight ...

www.ncbi.nlm.nih.gov

Medicinal benefits of Nigella sativa in bronchial asthma: A literature review

기관지 천식에서 니겔라 사티바의 의학적 이점: 문헌 검토

 

Abdulrahman Koshak,a,b Emad Koshak,c and Michael Heinricha,⁎

Author information Article notes Copyright and License information PMC Disclaimer

 

Abstract (개요)

Nigella sativa L. (NS) seeds, known as black seed, is a spice and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used in various diseases including bronchial asthma. This review aimed to assess the studies supporting the medicinal use of NS in asthma and to highlight future research priorities. Various medical databases were searched for the effects of NS and its active secondary metabolites in asthma inflammation and outcomes. There were fourteen preclinical studies describing multiple effects of NS in animal or cellular models of asthma including bronchodilation, anti-histaminic, anti-inflammatory, anti-leukotrienes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Furthermore, seven clinical studies showed improvements in different asthma outcomes including symptoms, pulmonary function and laboratory parameters. However, often these studies are small and used ill-defined preparations. In conclusion, NS could be therapeutically beneficial in alleviating airway inflammation and the control of asthma symptoms, but the evidence remains scanty and is often based on poorly characterised preparations. Accordingly, well-designed large clinical studies using chemically well characterised NS preparation are required.

블랙씨드로 알려진 니겔라 사티바 엘. (NS) 씨앗은 기관지 천식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에 사용되는 향신료이자 전통 약초입니다. 이 검토는 천식에서 NS의 의학적 사용을 뒷받침하는 연구를 평가하고 향후 연구 우선순위를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천식 염증 및 결과에 대한 NS 및 활성 이차 대사 산물의 효과에 대해 다양한 의학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했습니다. 기관지 확장, 항히스타민, 항염증, 항류코트리엔 및 면역 조절 효과를 포함하여 천식 동물 또는 세포 모델에서 NS의 다양한 효과를 설명하는 14건의 전임상 연구가 있었습니다. 또한 7건의 임상 연구에서 증상, 폐 기능 및 실험실 매개 변수를 포함한 다양한 천식 결과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규모가 작고 정의되지 않은 제제를 사용한 경우가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기도 염증 완화 및 천식 증상 조절에 치료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아직 증거가 부족하고 제대로 특성화되지 않은 제제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화학적으로 잘 특성화된 NS 제제를 사용하여 잘 설계된 대규모 임상 연구가 필요합니다.

 

Keywords: Nigella sativa, Black seed, Asthma, Traditional medicine, Clinical studies

키워드: 니겔라 사티바, 검은 씨앗, 천식, 전통 의학, 임상 연구

 

Abbreviations: NS, Nigella sativa L.; GINA,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IL, Interleukin; ACT, Asthma Control Test; FEV1,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Th1, Type 1 T helper (Th1) cells; Th2, Type 2 T helper (Th2) cells; RDBPCT, Randomis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RSBPCT, Randomised Single-Blind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RDBCT, Randomised Double-Blinded Clinical Trial; FeNO,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IgE, Immunoglobulin E

약어:

NS, 니겔라 사티바 L.

GINA, 천식을 위한 글로벌 이니셔티브;

IL, 인터루킨;

ACT, 천식 조절 테스트;

FEV1, 1초간 강제 호기량;

Th1, 1형 T 헬퍼(Th1) 세포;

Th2, 2형 T 헬퍼(Th2) 세포;

RDBPCT,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 대조 임상시험;

RSBPCT, 무작위 단일맹검 위약 대조 임상시험;

RDBCT, 무작위 이중맹검 임상시험;

FeNO, 분획 호기 산화질소;

IgE, 면역글로불린 E

 

판매자도 지난 5년간 계속 복용하고 있는 뷰티텐더 블랙씨드(캡슐타입)입니다.

 

1. Introduction (도입)

The seeds of the medicinal plant Nigella sativa L. (NS) are commonly used as a spice known as black seed. It also has traditional medical applications and considered to be a characteristic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diverse diseases in Unani, Arabic, Prophetic and Indian traditional medicines (Ahmad et al., 2013). Popular ancient physicians such as Hippocrates (460–370 BCE), Dioscorides (40–90 CE), Galen (130–210 CE), and Avicenna (980–1037 CE) reported various traditional therapeutic uses of NS (Botnick et al., 2012).

약용 식물인 니겔라 사티바 엘. (NS)의 씨앗은 일반적으로 블랙씨드로 알려진 향신료로 사용됩니다. 또한 우나니, 아랍, 예언 및 인도 전통 의학에서 다양한 질병에 대한 특징적인 전통 약초로 간주되어 전통 의학적 용도로도 사용됩니다(Ahmad et al., 2013). 히포크라테스(기원전 460-370년), 디오스코리데스(기원전 40-90년), 갈렌(기원전 130-210년), 아비세나(기원전 980-1037년)와 같은 유명한 고대 의사들은 NS의 다양한 전통 치료 용도를 보고했습니다(Botnick et al., 2012).

 

In the context of bronchial asthma and its symptoms, the Muslim scholar Imam Ibn Qayyim Al-Jawziyya (1292–1350 CE), author of the Prophetic Medicine, reported that NS aid in gasping and hard breathing (Abdullah, 2003). Avicenna has also reported its benefit for shortness of breath (انتصاب النفس) and for stopping phlegm (مقطع البلغم) (Avicenna, 1593). Nowadays, NS is still a traditional remedy for many illnesses such as cough and asthma in Arabia (Lebling and Pepperdine, 2006).

기관지 천식 및 그 증상과 관련하여 이슬람 학자 이맘 이븐 카이임 알-조지야(1292~1350년)는 예언 의학의 저자인 이맘 이븐 카이임 알-조지야는 NS가 헐떡거림과 호흡 곤란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했습니다(압둘라, 2003). 아비센나는 또한 숨가쁨(انتصاب النفس)과 가래(مقطع البلغم)를 멈추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했습니다(Avicenna, 1593). 오늘날에도 NS는 아라비아에서 기침과 천식 등 많은 질병에 대한 전통적인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Lebling and Pepperdine, 2006).

 

The chemical composition of NS has been studied in considerable detail. Mainly, it contains fixed oil (24.76–40.35%), volatile oil (0.5–1.6%), alkaloids, saponins, and other compounds in trace amounts (Ahmad et al., 2013, Botnick et al., 2012, Liu et al., 2011). The activity of NS appeared to be mainly attributed to thymoquinone (Ahmad et al., 2013). Thymoquinone was first isolated from NS oil by El–Dakhakhny (1963).

NS의 화학 성분은 상당히 자세히 연구되었습니다. 주로 고정 오일(24.76-40.35%), 휘발성 오일(0.5-1.6%), 알칼로이드, 사포닌 및 기타 화합물을 미량 함유하고 있습니다(Ahmad et al., 2013, Botnick et al., 2012, Liu et al., 2011). NS의 활성은 주로 티모퀴논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Ahmad et al., 2013). 티모퀴논은 엘-다카크니(1963)에 의해 NS 오일에서 처음 분리되었습니다.

 

The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defined asthma as “a heterogeneous disease, usually characterised by chronic airway inflammation. It is identified by the history of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wheeze, shortness of breath, chest tightness and cough that vary over time and in intensity, together with variable expiratory airflow limitation”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2017). The Global Asthma Report 2014 considered asthma as an epidemic disease probably affecting about 334 million people worldwide and becoming a global health priority (Global Asthma Network, 2014). In Saudi Arabia (with a population of 28 million), the prevalence of asthma is increasing and affects more than 2 million Saudis (Al-Moamary, 2012).

천식에 대한 글로벌 이니셔티브는 천식을 "일반적으로 만성 기도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인 질병"으로 정의했습니다. 천명음, 숨가쁨, 흉부 압박감, 기침과 같은 호흡기 증상의 병력과 시간에 따라 강도가 달라지는 가변적 호기 기류 제한으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천식을 위한 글로벌 이니셔티브, 2017). 2014년 글로벌 천식 보고서(Global Asthma Report 2014)에서는 천식을 전 세계 약 3억 3,400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전염병으로 간주하고 글로벌 보건 우선 순위로 삼았습니다(글로벌 천식 네트워크, 2014). 사우디아라비아(인구 2,800만 명)에서는 천식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2백만 명 이상의 사우디인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Al-Moamary, 2012).

 

Asthma is initiated by multiple interactions between inflammatory cells and mediators. After an exposure to a triggering factor, inflammatory mediators are released from mast, macrophages, T-cells and epithelial cells. This cause attraction of other inflammatory cells mainly eosinophil into the pulmonary tissues. These causes lung injury, mucus hypersecretion and smooth muscle hyperactivity. Furthermore, at least 27 cytokines and 18 chemokines play a role in asthma pathophysiology (Koda-Kimble, 2009). Th2 lymphocytes cytokines [interleukin IL-4, IL-5, and IL-13] and Th1 cytokine interferon-gamma are the main ones to provoke allergy and asthma (Ngoc et al., 2005).

천식은 염증 세포와 매개체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에 의해 시작됩니다. 유발 인자에 노출되면 비만세포, 대식세포, T세포 및 상피세포에서 염증 매개 물질이 방출됩니다. 이로 인해 주로 호산구를 비롯한 다른 염증 세포가 폐 조직으로 유인됩니다. 이로 인해 폐 손상, 점액 과다 분비 및 평활근 과잉 활동이 유발됩니다. 또한 최소 27개의 사이토카인과 18개의 케모카인이 천식 병리 생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Koda-Kimble, 2009). Th2 림프구 사이토카인[인터루킨 IL-4, IL-5, IL-13]과 Th1 사이토카인 인터페론-감마는 알레르기와 천식을 유발하는 주요 사이토카인입니다(Ngoc et al., 2005).

 

Generally, the key goals for asthma management are to reach a good control of symptoms and minimize future risk of exacerbations, airflow limitation and treatment adverse events. Assessment of asthma control level can be done using several tools (Bateman et al., 2008). The Asthma Control Test (ACT) is a global validated numerical tool for the assessment of asthma control which is also commonly used by health care providers in Saudi Arabia (Al-Moamary, 2012). Future risk can be assessed by pulmonary function testing, particularly th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Bateman et al., 2008).

일반적으로 천식 관리의 핵심 목표는 증상을 잘 조절하고 향후 악화, 기류 제한 및 치료 부작용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천식 조절 수준은 여러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습니다(Bateman et al., 2008). 천식 조절 테스트(ACT)는 천식 조절 평가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검증된 수치 도구로 사우디아라비아의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도 일반적으로 사용합니다(Al-Moamary, 2012). 폐 기능 검사, 특히 1초간 강제 호기량(FEV1)을 통해 향후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Bateman et al., 2008).

 

From a global clinical perspective, achieving asthma control is considered to be suboptimal regardless of the availability of conventional treatments (Demoly et al., 2012, Price et al., 2014). Poor adherence to asthma medications is one of the factors leading to suboptimal asthma control (Haughney et al., 2008, Horne et al., 2007). Common medication-related reasons for non-adherence include difficulties with inhaler techniques, the complex course of therapy, adverse events, and cost of medications (Bateman et al., 2008, Dima et al., 2015). In Saudi Arabia, a survey of adult asthmatics found that asthma attacks were highly associated with patients on current asthma medications (Moradi-Lakeh et al., 2015). The Global Asthma Physician and Patient Survey reported that 76% of patients and 81% of physicians consider that new treatment options are required (GAPP, 2005). The introduction of novel treatment strategies (such as “add-on” treatments) is a key step for better asthma control (Lommatzsch and Stoll, 2016).

전 세계 임상 관점에서 볼 때, 천식 조절 달성은 기존 치료법의 가용성과 관계없이 차선책으로 간주됩니다(Demoly 외., 2012, Price 외., 2014). 천식 치료제에 대한 낮은 순응도는 천식 조절이 차선책으로 이어지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Haughney 등, 2008, Horne 등, 2007). 복약 불이행의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흡입기 기술의 어려움, 복잡한 치료 과정, 부작용, 약품 비용 등이 있습니다(Bateman 외., 2008, Dima 외., 2015).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성인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천식 발작은 현재 천식 치료제를 복용 중인 환자와 높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Moradi-Lakeh 외., 2015). 글로벌 천식 의사 및 환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환자의 76%와 의사의 81%가 새로운 치료 옵션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GAPP, 2005). 새로운 치료 전략(예: "추가" 치료)의 도입은 천식 조절을 개선하기 위한 핵심 단계입니다(Lommatzsch and Stoll, 2016).

 

Asthma patients tend to use herbal medicines as one of the common therapie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Slader et al., 2006). However, these therapies often have insufficient evidence for their effectiveness in asthma. In Saudi Arabia, a questionnaire type study was done by Al Moamary (2008) in 200 asthmatic patients. He found that NS is one of the most commonly non-standard therapies used by 10% of the patients.

천식 환자는 보완 및 대체 의학의 일반적인 치료법 중 하나로 약초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Slader 등, 2006). 그러나 이러한 요법은 천식에 대한 효과에 대한 증거가 불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사우디 아라비아에서는 200 명의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형식의 연구가 Al Moamary (2008)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그는 NS가 환자의 10%가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비표준 요법 중 하나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In this review, we aimed at exploring and assessing the relevant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supporting the use of NS in patients with asthma, and evaluating the current evidence to highlight future research priorities.

이 검토에서는 천식 환자에 대한 NS 사용을 뒷받침하는 관련 전임상 및 임상 연구를 탐색 및 평가하고, 현재의 증거를 평가하여 향후 연구 우선순위를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1병에 100캡슐... 국내에 정식으로 수입된 터키산 블랙씨드 오일~

 

2. Methods (실험방법)

A literature search for scientific studies published in electronic databases (PubMed, Science Direct, Scopus, and Google Scholar) was done using the terms Nigella sativa, Black seed, Thymoquinone and (their pharmacological effects) on asthma. Studies were searched for electronically between the years 1990 and 2017. Retrieved studies were assessed and the data was categorised into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전자 데이터베이스(펍메드, 사이언스 다이렉트, 스코퍼스, 구글 스콜라)에 게시된 과학 연구에 대한 문헌 검색은 천식에 대한 니겔라 사티바, 블랙 시드, 티모퀴논 및 (약리학적 효과)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수행했습니다. 1990년부터 2017년 사이의 연구를 전자적으로 검색했습니다. 검색된 연구를 평가하고 데이터를 전임상 및 임상 연구로 분류했습니다.

 

 

3. Results (결과)

At least nineteen preclinical studies and seven clinical studies reported the effects of NS in asthma. Details of the retrieved studies are summarised in the following.

최소 19건의 전임상 연구와 7건의 임상 연구에서 천식에 대한 NS의 효과를 보고했습니다. 검색된 연구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3.1. Preclinical studies of Nigella sativa in cellular and animal models of asthma (천식의 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니겔라 사티바의 전임상 연구)

NS and its active compounds thymoquinone, nigellone and α-hederin have been investigated in eighteen whole or cellular animal models and one human cellular model related to asthma. NS oil, thymoquinone or α-hederin showed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in seven studies (Abbas et al., 2005, Balaha et al., 2012, El Gazzar et al., 2006, Mansour and Tornhamre, 2004, Saadat et al., 2015, Saleh et al., 2012, Shahzad et al., 2009). NS extracts, thymoquinone or α-hederin demonstrated a bronchodilatory or relaxant effect in six studies (Abd El Aziz et al., 2011, Al-Majed et al., 2001, Boskabady et al., 2008, Gilani et al., 2001, Keyhanmanesh et al., 2013, Saadat et al., 2015). The anti-histaminic effect was shown in four studies used NS oil/aqueous extract, nigellone or α-hederin (Abd El Aziz et al., 2011, Chakravarty, 1993, Saadat et al., 2015, Saleh et al., 2012). Pathological improvements were detected by thymoquinone or NS oil in five studies (Arabzadeh et al., 2016, Boskabady and Sheiravi, 2002, El Gazzar et al., 2006, Kalemci et al., 2013, Shahzad et al., 2009). The summary of findings of these studies are shown in Table 1.

NS와 그 활성 화합물인 티모퀴논, 니겔론, α-헤데린은 천식과 관련된 18개의 전체 또는 세포 동물 모델과 1개의 인간 세포 모델에서 조사되었습니다. NS 오일, 티모퀴논 또는 α-헤데린은 7건의 연구에서 항염증 및 면역 조절 효과를 나타냈습니다(Abbas 외, 2005, Balaha 외, 2012, El Gazzar 외, 2006, Mansour and Tornhamre, 2004, Saadat 외, 2015, Saleh 외, 2012, Shahzad 외, 2009). NS 추출물, 티모퀴논 또는 α-헤데린은 6건의 연구에서 기관지 확장 또는 이완 효과를 입증했습니다(Abd El Aziz 외, 2011, Al-Majed 외, 2001, Boskabady 외, 2008, Gilani 외, 2001, Keyhanmanesh 외, 2013, Saadat 외, 2015). 항히스타민 효과는 NS 오일/수성 추출물, 니겔론 또는 α-헤데린을 사용한 4건의 연구에서 나타났습니다(Abd El Aziz 외., 2011, Chakravarty, 1993, Saadat 외., 2015, Saleh 외., 2012). 5건의 연구에서 티모퀴논 또는 NS 오일에 의한 병리학적 개선이 발견되었습니다(아랍자데 외, 2016, 보스카바디와 셰이라비, 2002, 엘 가자르 외, 2006, 칼렘치 외, 2013, 샤자드 외, 2009). 이러한 연구 결과의 요약은 표 1에 나와 있습니다.

 

Table 1 (테이블이 큰 관계로 본문의 내용을 확인하세요)

Effects of NS in pre-clinical studies of asthma.

천식 전임상 연구에서 NS의 효과.

 

ip; intraperitoneal. OVA; ovalbumin. BAL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N/A; data not included in the original study.

IP; 복강 내. OVA; 오발부민. BALF; 기관지 폐포 세척액. N/A; 원래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

 

Generally, these studies used animal models sensitised with ovalbumin or isolated Guinea pig trachea. Some studies used cellular models such as human granulocytes or animal mast cells. However, these studies had limitations such as the variability of NS preparations used between most them, and absence of control group in some studies (Table 1).

일반적으로 이러한 연구는 오발부민에 감작된 동물 모델 또는 분리된 기니피그 기관을 사용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인간 과립구 또는 동물 비만세포와 같은 세포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사용된 NS 제제가 다양하고 일부 연구에서는 대조군이 없는 등의 한계가 있었습니다(표 1).

 

1알에 1000mg, 냉압착으로 착유한 터키산 블랙오일~

 

3.2. Clinical studies of Nigella sativa in patients with asthma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니겔라 사티바의 임상 연구)

Seven clinical studies showed a potential efficacy of NS on asthma outcomes and biomarkers. Three Randomis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s (RDBPCT) and two Randomised Single-Blind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s (RSBPCT) using NS crushed seeds powder or oil/aqueous extract, showed an improvement in clinical symptoms and pulmonary function test in adult asthmatics (Boskabady et al., 2007, Kalus et al., 2003, Kardani et al., 2013, Koshak et al., 2017, Salem et al., 2017). In addition, a reduction of blood eosinophilia was found in RDBPCT by Koshak et al. (2017). Also, a decrease in total serum IgE and FeNO, and an increase in serum INF-gamma cytokine were shown in the RSBPCT trial of Salem et al. (2017).

7건의 임상 연구에서 천식 결과 및 바이오마커에 대한 NS의 잠재적 효능이 입증되었습니다. NS 분쇄 씨앗 분말 또는 오일/수성 추출물을 사용한 3건의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 대조 임상시험(RDBPCT)과 2건의 무작위 단일맹검 위약 대조 임상시험(RSBPCT)에서 성인 천식 환자의 임상 증상과 폐 기능 검사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oskabady 외, 2007, Kalus 외, 2003, Kardani 외, 2013, Koshak 외, 2017, Salem 외, 2017). 또한, 혈중 호산구 증가증의 감소는 Koshak 등(2017)에 의해 RDBPCT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또한 Salem 등(2017)의 RSBPCT 시험에서는 총 혈청 IgE 및 FeNO의 감소와 혈청 INF-감마 사이토카인의 증가가 나타났습니다.

 

A Randomised Double-Blinded Clinical Trial (RDBCT) showed a short bronchodilatory effect in patients with asthma after administration of a single dose of NS (Boskabady et al., 2010). Two studies used NS in combination with other treatments showed an improvement in ACT and PFT scores (Al Ameen et al., 2011, Kardani et al., 2013) (Table 2).

무작위 이중맹검 임상시험(RDBCT)에 따르면 천식 환자에게 NS를 단일 용량으로 투여한 후 기관지 확장 효과가 짧게 나타났습니다(Boskabady 외., 2010). NS를 다른 치료법과 병용한 두 연구에서 ACT 및 PFT 점수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Al Ameen 외., 2011, Kardani 외., 2013)(표 2).

 

Table 2 (테이블이 큰 관계로 본문의 내용을 확인하세요)

Effects of Nigella sativa on asthma in clinical studies.

임상 연구에서 천식에 대한 니겔라 사티바의 효과.

 

블랙씨드 오일 구매는 '뷰티텐더 블랙씨드(캡슐타입)'로~

 

RDBPCT;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RSBPCT; Randomised Sing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RDBCT: Randomised Double-Blind Controlled Trial. ACT; Asthma control test. FEV1;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 FVC; forced vital capacity. MMEF; maximal mid expiratory flow. PEF; peak expiratory flow. Tsp; tea spoonful. FeNO;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FEF25-75%; mid expiratory flow. IM; Immunotherapy.

무작위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시험. RSBPCT; 무작위 단일 맹검 위약 대조 시험. RDBCT: 무작위 이중 맹검 대조 시험. ACT; 천식 조절 테스트. FEV1; 1초간 강제 호기량. FVC; 강제 폐활량. MMEF; 최대 중간 호기 유량. PEF; 최대 호기 유량. Tsp; 차 한 스푼. FeNO; 분획 호기 산화질소. FEF25-75%; 중간 호기 유량. IM; 면역 요법.

 

However, these clinical trials appeared to have some important limitations (Table 2). In many of these studies, the standard of design was poor as three studies only were RDBPCT. The phytochemical characterisation of the investigational NS product was not shown in many studies. The sample size was comparatively small in most studies. The largest trial by Koshak et al. (2017) included 80 adult asthmatic patients. The measured outcomes were generally limited to symptoms or pulmonary function in several studies.

그러나 이러한 임상시험에는 몇 가지 중요한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표 2). 이러한 연구 중 상당수는 설계 기준이 열악했는데, 단 3건의 연구만이 RDBPCT였기 때문입니다. 임상시험용 NS 제품의 식물 화학적 특성은 많은 연구에서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샘플 크기가 비교적 작았습니다. 가장 큰 규모의 임상시험은 80명의 성인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한 Koshak 등(2017)의 연구입니다. 측정된 결과는 일반적으로 여러 연구에서 증상이나 폐 기능으로 제한되었습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longer, larger and high standard multicentre clinical trial (more than 80 asthmatic patients) with phytochemically well-characterised NS product. Also, to use validated asthma control measurement tools with consideration of additional asthma outcomes and biomarkers such as FeNO, Sputum eosinophils, total blood eosinophils, total serum IgE, allergen-specific IgE and urinary LTE4 (Szefler et al., 2012). Additionally, measuring serum inflammatory cytokines may be worth considering, since asthma is regulated by multiple inflammatory cytokines and some were associated with asthma control (Akiki et al., 2017).

따라서 식물 화학적으로 잘 특성화된 NS 제품을 사용하여 더 길고, 더 크고, 더 높은 수준의 다기관 임상시험(80명 이상의 천식 환자)이 필요합니다. 또한, 추가적인 천식 결과와 FeNO, 객담 호산구, 총 혈중 호산구, 총 혈청 IgE, 알레르겐 특이 IgE 및 요로 LTE4와 같은 바이오마커를 고려하여 검증된 천식 조절 측정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Szefler 외., 2012). 또한 천식은 여러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조절되고 일부는 천식 조절과 관련이 있으므로 혈청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측정하는 것도 고려할 가치가 있습니다(Akiki et al., 2017).

 

4. Conclusion (결론)

This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various preparations derived from Nigella sativa have a potential role for the clinical use in asthma. Preclinical studies of NS preparations showed bronchodilation, anti-histaminic, anti-inflammatory, anti-leukotrienes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in animal or cellular models of asthma. Clinical studies of NS preparations showed an improvement of asthma symptoms control, lung function and asthma biomarkers. However, these studies have study design limitations and limited phytochemical characterisation of NS preparations used. Consequently, the current clinical evidence for the use of NS in patients with asthma is evolving in strength. In future, larger, longer, well-designed clinical trials including additional biomarkers and using phytochemically characterised NS preparation are required for assessing the clinical use of NS in asthma. Eventually, NS may offer a cost-effective and clinically proven effective add-on therapeutic option for asthmatics with fewer side, which may be used as integrative medicine within the Saudi healthcare system and beyond.

이 문헌 검토에 따르면 니겔라 사티바에서 추출한 다양한 제제가 천식 임상에서 잠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S 제제에 대한 전임상 연구에 따르면 천식의 동물 또는 세포 모델에서 기관지 확장, 항히스타민, 항염증, 항 류코트리엔 및 면역 조절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NS 제제에 대한 임상 연구에 따르면 천식 증상 조절, 폐 기능 및 천식 바이오마커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는 연구 설계의 한계와 사용된 NS 제제의 식물 화학적 특성 분석에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천식 환자에게 NS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현재 임상 증거는 점점 더 강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천식에서 NS의 임상적 사용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 바이오마커를 포함하고 식물 화학적으로 특성화된 NS 제제를 사용하는 등 더 크고, 더 길고, 잘 설계된 임상 시험이 필요합니다. 궁극적으로 NS는 천식 환자에게 비용 효율적이고 임상적으로 입증된 효과적인 추가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우디 의료 시스템과 그 밖의 지역에서 통합 의학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Funding (연구비 지원)

This research is part of the PhD thesis of Mr. Abdulrahman Koshak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audi Arabia. It did not receive any specific external grant from funding agencies in the public, commercial, or not-for-profit sectors.

이 연구는 사우디아라비아 교육부의 지원을 받은 압둘라만 코샥의 박사 학위 논문의 일부입니다. 이 연구는 공공, 상업 또는 비영리 부문의 자금 지원 기관으로부터 특정 외부 보조금을 받지 않았습니다.

 

Footnotes (각주)

Peer review under responsibility of King Saud University.

킹 사우드 대학교의 책임 하에 동료 검토가 진행됩니다.

 

REFERENCES (참조) -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