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니겔라 사티바(블랙씨드) : 만성 질환 관리의 귀중한 관점

beautender 2024. 6. 7. 11:59

 

오늘은 미국 국립 생명공학 정보 센터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에 게제된 "니겔라 사티바(블랙씨드) : 만성 질환 관리의 귀중한 관점"에 대한 자료를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원본의 출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판매자도 지난 5년간 계속 복용하고 있는 뷰티텐더 블랙씨드(캡슐타입)입니다.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351440/

Nigella sativa: Valuable perspective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Over the past 20 years, increasing interest in the use of medicinal plants as alternative or adjuvant treatments of several chronic diseases was observed. Accordingly, Nigella sativa or black cumin, a medicinal plant rich in bioactive compounds, has been ...

www.ncbi.nlm.nih.gov

 

Nigella sativa: Valuable perspective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니겔라 사티바(블랙씨드) : 만성 질환 관리의 귀중한 관점

 

Raluca Maria Pop,1,* Adrian Pavel Trifa,2 Ada Popolo,3 Veronica Sanda Chedea,4 Claudia Militaru,1 Ioana Corina Bocsan,1 and Anca Dana Buzoianu1

Author information Article notes Copyright and License information PMC Disclaimer

 

Abstract (개요)

Objective(s):

목표

 

Over the past 20 years, increasing interest in the use of medicinal plants as alternative or adjuvant treatments of several chronic diseases was observed. Accordingly, Nigella sativa or black cumin, a medicinal plant rich in bioactive compounds, has been used worldwide for food purposes or in traditional medicines. This paper aims to reveal N. sativa potential as adjunct treatment in cardiovascular diseases, diabetes, and hematological malignancies, due to their increasing prevalence and difficult management in everyday life.

지난 20년 동안 여러 만성 질환의 대체 또는 보조 치료제로 약용 식물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생리 활성 화합물이 풍부한 약용 식물인 니겔라 사티바 또는 블랙 커민은 전 세계적으로 식용 또는 전통 의약품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 논문은 일상 생활에서 유병률이 증가하고 관리가 어려운 심혈관 질환, 당뇨병 및 혈액 악성 종양에 대한 보조 치료제로서 N. sativa의 잠재력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Materials and Methods (자료 및 방법)

Databases like PubMed, Web of Science, Science Direct, Scopus, and Google Scholar were used to search the literature data. Keywords like anti-inflammatory effect, anti-oxidant effect, antihypertensive effects, hypolipidemic effects and hematological malignancies were used in combination with N. sativa.

문헌 데이터 검색에는 PubMed, Web of Science, Science Direct, Scopus, Google Scholar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했습니다. 항염증 효과, 항산화 효과, 항고혈압 효과, 고지혈증 효과, 혈액학적 악성 종양과 같은 키워드는 N. sativa와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Results: (결과)

Because of its numerous pharmacological actions, but especially for i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vivo and in vitro studies demonstrated N. sativa positive effect against diabetes, hypertension, and hypercholesterolemia, all of them associ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s progression. Also, it was proved to have marked anti-proliferative, cytotoxic, pro-apoptotic, and anti-metastatic effects, in both solid cancers and hematological malignancies.

다양한 약리 작용, 특히 항산화 및 항염증 특성으로 인해 생체 내 및 시험관 내 연구에서 N. sativa는 심혈관 질환 진행과 관련된 당뇨병, 고혈압 및 고콜레스테롤 혈증에 대해 긍정적 인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또한, 고형암과 혈액암 모두에서 항증식, 세포 독성, 세포 자멸사 및 전이 방지 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5. Conclusions (결론)

N. sativa used as complementary treatment to classical medications can improve the management of several chronic diseases.

기존 약물에 대한 보완 치료로 사용되는 N. sativa는 여러 만성 질환의 관리를 개선 할 수 있습니다.

 

Key Words: Anti-inflammatory agents, Anti-oxidants, Cardiovascular diseases, Diabetes mellitus, Leukemia, Lymphoma, Multiple myeloma, Nigella sativa

핵심 단어: 항염증제, 항산화제, 심혈관 질환, 당뇨병, 백혈병,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니겔라 사티바, Nigella sativa

 

Introduction (도입)

Plant bioactive compounds are receiving continuous attention because of their diverse pharmacological properties. They are considered very useful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everal common diseases and conditions like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s, diabetes mellitus, obesity,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13). Because of their strong anti-oxidant, free radical scavenging,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properties, plants represent an important source of novel therapeutic drug discovery and production.

식물 생리 활성 화합물은 다양한 약리 특성으로 인해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들은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비만, 신경 퇴행성 질환과 같은 여러 가지 일반적인 질병 및 상태의 치료와 예방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간주됩니다(1-3). 식물은 강력한 항산화, 활성산소 제거, 항염증, 항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새로운 치료제를 발견하고 생산하는 데 중요한 원천이 됩니다.

 

Nigella sativa L. or black cumin is one of these representative medicinal plants, used for centuries for its health benefits. Systematically N. sativa belongs to the Ranunculaceae family, and is an annual herb of 8–12 inch height, with pinnate and segmented leaves (4). Its flowers are solitary, self-pollinating, and colored in blue and white. The capsule fruits contain numerous trigonal seeds (4). Because of its seeds that have a specific aroma, a bitter and peppery taste (5, 6), this plant was used worldwide since ancient times not only as condiment and spice (4, 711) but also as a therapeutic plant to treat different diseases. Thus, in its originating countries in the south and east of the Mediterranean sea to Iran, Pakistan, and India (5), N. sativa is one of the most cherished medicinal species (4), being used to prepare dietary supplemental products, functional cosmetics (10, 12), and also for medicinal purposes like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orders, rheumatism, hypertension, diabetes, obesity (1315), and respiratory ailments (5, 16).

블랙 커민은 수세기 동안 건강상의 이점을 위해 사용되어 온 대표적인 약용 식물 중 하나입니다. 체계적으로 N. sativa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며 높이 8~12인치의 일년생 초본으로, 뾰족하고 갈라진 잎을 가지고 있습니다(4). 꽃은 단독으로 피어있으며 자가 수분하며 파란색과 흰색으로 채색되어 있습니다. 캡슐 열매에는 수많은 삼각형 씨앗이 들어 있습니다(4). 특정 향기, 쓴맛과 후추 맛이 나는 씨앗 (5, 6)으로 인해 이 식물은 고대부터 조미료와 향신료 (4, 7-11)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치료 식물로도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지중해 남쪽과 동쪽에서 이란, 파키스탄, 인도에 이르는 원산지에서(5) N. sativa는 가장 소중히 여기는 약용 종 중 하나이며(4), 건강 보조 식품, 기능성 화장품(10, 12), 위장 장애, 류머티즘, 고혈압, 당뇨병, 비만(13-15) 및 호흡기 질환(5, 16) 치료와 같은 의약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1병에 100캡슐... 국내에 정식으로 수입된 터키산 블랙씨드 오일~

 

The health benefits of NSS different extracts and oils are given by the bioactive metabolites’ presence, either as pure molecules or in a mixture (5, 1720). The studies show that in the seeds of N. sativa there are more than 100 chemical compounds, out of which many still have to be characterized (12, 21, 22) (Table 1).

NSS(NIgella Sativa Seed)의 다양한 추출물과 오일의 건강상의 이점은 순수한 분자 또는 혼합물 형태로 존재하는 생리 활성 대사 산물의 존재에 의해 제공됩니다 (5, 17-20). 연구에 따르면 N. sativa의 씨앗에는 100 개 이상의 화합물이 있으며이 중 많은 화합물이 아직 특성화 되어야 합니다 (12, 21, 22) (표 1).

 

Table 1

General composition of Nigella sativa

 
Compound class
Compound name
Content range
Source
Reference
Sterols
% total sterols
Cholesterol
0.70-1.28
s
(5, 8, 126128)
0.48-1.01
o
Campesterol
9.88-13.76
s
(5, 8, 126128)
2.28-13.1
o
Campestanol
0.54-0.56
s
(5, 8, 126128)
Stigmasterol
10.52-20.92
s
(5, 8, 126128)
4.31-18.22
o
β-sitosterol
44.53-53.95
s
(5, 8, 126128)
13.24-53
o
-sitosterol
0.59
o
(5, 8, 126128)
Sitostanol
2.29-2.38
s
(5, 8, 126128)
Δ7-Stigmasterol
1.60-2.22
s
(5, 8, 126128)
0.6
o
Δ 7-Avenasterol
1.11-2.24
s
(5, 8, 126128)
2.1
o
Δ 5- Avenasterol
2.1
o
(5, 8, 126128)
Tocopherols
mg/kg
α-Tocopherol
0.8-1.3
s
(129)
β-Tocopherol
0.5-0.9
s
(129)
-Tocopherol
1.2-12.1
s
(129)
β-Tocotrienol
8.2-12.1
s
(129)
Fatty acids
%
Lauric acid (C12:0)
0.6
o
(130132)
Myristic (C14:0)
0.14-1
s
(5, 128, 133, 134)
0.15-1
o
Palmitic (C16:0)
8.92-10.5
s
(5, 128, 133, 134)
11.17-13.1
o
Palmitoleic (C16:1)
0.18
s
(5, 128, 133, 134)
0.19-0.2
o
Margaric acid (C17:0)
0.061
o
(5, 128, 133, 134)
Heptadesenoic (C17:1)
0.054
o
(5, 128, 133, 134)
Stearic (C18:0)
2.04-2.44
s
(5, 128, 133, 134)
2.22-3.4
o
Oleic (C18:1)
9.42-16.23
s
(5, 128, 133, 134)
22.94-24.64
o
Linoleic (C18:2)
63.71-68.07
s
(5, 128, 133, 134)
55.6-58.5
o
Linolenic (C18:3)
0.44-2.16
s
(5, 128, 133, 134)
2.23-0.4
o
Arachidic (C20:0)
0.13
s
(5, 128, 133, 134)
0.2-0.5
o
Eicosenoic (C20:1)
0.27
s
(5, 128, 133, 134)
0.31
o
Eicosedienoic acid (C20:2)
0.33
s
(5, 128, 133, 134)
2.55
o
Behenic (C22:0)
2.89
s
(5, 128, 133, 134)
0.039
o
Docosenoic (C22:1)
0.047
o
(5, 128, 133, 134)
Lignoceric acid (C24:0)
1.04
s
(5, 128, 133, 134)
Monoterpenic
hydrocarbons
mg/100gDW
α-Thujene
4.38-109.4
e.o.
(133, 135137)
α -Pinene
2.19-27.65
e.o.
(133, 135137)
Sabinene
0.39-3.46
e.o.
(133, 135137)
β-Pinene
1.1-43.78
e.o.
(133, 135137)
Myrcene
0.21
e.o.
(133, 135137)
α -Terpinene
0.55-1.15
e.o.
(133, 135137)
p-Cymene
11.3-374.4
e.o.
(133, 135137)
Limonene
0.31-13.82
e.o.
(133, 135137)
-Terpinene
5.21-12.67
e.o.
(133, 135137)
Monoterpene ester
Bornyl acetate
0.04-1.15
e.o.
(133, 135137)
Monoterpenoid
ketones
Carvone
0.02
e.o.
(133, 135137)
p-Cymen-9-ol
12.67
e.o.
(133, 135137)
Eugenol
4.61
e.o.
(133, 135137)
Thymoquinone
3.52-413.57
e.o.
(133, 135137)
Thymohydroquinone
6.35-7.3
e.o.
(133, 135137)
Monoterpenoid alcohols
Carvacrol
2.61-12.67
e.o.
(133, 135137)
4-Terpineol
0.2-9.22
e.o.
(133, 135137)
Terpenic phenols
Thymol
1.67
e.o.
(133, 135137)
Sesquiterpene
α-Longipinene
0.34-4.61
e.o.
(133, 135137)
Longifolene
1.71
e.o.
(133, 135137)
Z-γ-Bisabolene
2.30
e.o.
(133, 135137)
(E)-Caryophyllene
0.02-4.61
e.o.
(133, 135137)
Polyphenols
mg/kg
Catechin
56.56-124.6
o
(128)
Epicatechin
39.67-98.1
o
(128, 138)
1.28
sh
0.64
r
Catechin hydrated
7.26
sh
(128, 138)
3.4
r
Rutin
14 -117.7
o
(128, 138)
Dihydro quercitin
4.05-31.45
o
(128, 138)
Naringine
2.16-58.68
o
(128, 138)
Quercimeritrin
5.89-39.89
o
(128, 138)
Quercetin
5.03-35.67
o
(128, 138)
2.56
sh
2.61
r
Apigenin
6.83
sh
(128, 138)
1.77
r
Amentoflavone
2.91
sh
(128, 138)
Flavone
3.4
sh
(128, 138)
0.54
r
Callistephin
15.99-33.6
o
(128, 138)
Gallic acid
27.86
sh
(128, 138)
30.59
r
p-Dihydroxybenzoic acid
1.73
r
(138)
Chlorogenic acid
1.51
sh
(138)
0.36
r
Vanillic acid
143.2
sh
(138)
89.94
r
trans-2-Hydroxycinnamic acid
1.25
sh
(138)
2.58
r
trans-Cinnamic acid
15.47
sh
(138)
0.98
r
Macro elements
mg/kg DW
Potassium (K)
708-7561
s
(129, 130)
Magnesium (Mg)
80-1878
s
(129, 130)
Calcium (Ca)
160-5089
s
(129, 130)
Zinc (Zn)
2.5-48.89
s
(129, 130)
Manganese (Mn)
1.5-22.73
s
(129, 130)
Copper (Cu)
0.9-16.03
s
(129, 130)
Iron (Fe)
8.65-108.1
s
(129, 130)
Phosphorus (P)
48.9-6197
s
(129, 130)
Micro elements
mg/kg DW
Boron (B)
19.42-23.6
s
(129, 130)
Chromium (Cr)
0.291-0.65
s
(129, 130)
Copper (Cu)
15.07-16.3
s
(129)
Molybdenum (Mo)
0.221-0.40
s
(129)
Nickel (Ni)
3.49-5.18
s
(129)

S: seeds, o: oil, EO: essential oil, sh: shoots, r: roots

 

표 1

Nigella sativa 의 일반 구성

 
복합 수업
화합물명
내용 범위
원천
참조
스테롤
% 총 스테롤
콜레스테롤
0.70-1.28
씨앗
( 5 , 8 , 126128 )
0.48-1.01
오일
캄페스테롤
9.88-13.76
씨앗
( 5 , 8 , 126128 )
2.28-13.1
오일
캄페스타놀
0.54-0.56
씨앗
( 5 , 8 , 126128 )
스티그마스테롤
10.52-20.92
씨앗
( 5 , 8 , 126128 )
4.31-18.22
오일
β-시토스테롤
44.53-53.95
씨앗
( 5 , 8 , 126128 )
13.24-53
오일
-시토스테롤
0.59
오일
( 5 , 8 , 126128 )
시토스타놀
2.29-2.38
씨앗
( 5 , 8 , 126128 )
Δ7-스티그마스테롤
1.60-2.22
씨앗
( 5 , 8 , 126128 )
0.6
오일
Δ 7-아베나스테롤
1.11-2.24
씨앗
( 5 , 8 , 126128 )
2.1
오일
Δ 5- 아베나스테롤
2.1
오일
( 5 , 8 , 126128 )
토코페롤
mg/kg
α-토코페롤
0.8-1.3
씨앗
( 129 )
β-토코페롤
0.5-0.9
씨앗
( 129 )
- 토코페롤
1.2-12.1
씨앗
( 129 )
β-토코트리에놀
8.2-12.1
씨앗
( 129 )
지방산
%
라우르산(C12:0)
0.6
오일
( 130132 )
미리스틱(C14:0)
0.14-1
씨앗
( 5 , 128 , 133 , 134 )
0.15-1
오일
팔미트산 (C16:0)
8.92-10.5
씨앗
( 5 , 128 , 133 , 134 )
11.17-13.1
오일
팔미톨레산(C16:1)
0.18
씨앗
( 5 , 128 , 133 , 134 )
0.19-0.2
오일
마르가르산(C17:0)
0.061
오일
( 5 , 128 , 133 , 134 )
헵타세노산(C17:1)
0.054
오일
( 5 , 128 , 133 , 134 )
스테아르산(C18:0)
2.04-2.44
씨앗
( 5 , 128 , 133 , 134 )
2.22-3.4
오일
올레산(C18:1)
9.42-16.23
씨앗
( 5 , 128 , 133 , 134 )
22.94-24.64
오일
리놀레산(C18:2)
63.71-68.07
씨앗
( 5 , 128 , 133 , 134 )
55.6-58.5
오일
리놀렌산(C18:3)
0.44-2.16
씨앗
( 5 , 128 , 133 , 134 )
2.23-0.4
오일
아라키딕(C20:0)
0.13
씨앗
( 5 , 128 , 133 , 134 )
0.2-0.5
오일
에이코세노익(C20:1)
0.27
씨앗
( 5 , 128 , 133 , 134 )
0.31
오일
에이코세디엔산(C20:2)
0.33
씨앗
( 5 , 128 , 133 , 134 )
2.55
오일
베헤닉(C22:0)
2.89
씨앗
( 5 , 128 , 133 , 134 )
0.039
오일
도코세노산(C22:1)
0.047
오일
( 5 , 128 , 133 , 134 )
리그노세르산(C24:0)
1.04
씨앗
( 5 , 128 , 133 , 134 )
모노테르펜
탄화수소
mg/100gDW
α-투젠
4.38-109.4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α-피넨
2.19-27.65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사비넨
0.39-3.46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β-피넨
1.1-43.78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미르센
0.21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α-테르피넨
0.55-1.15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p-시멘
11.3-374.4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리모넨
0.31-13.82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테르피넨
5.21-12.67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모노테르펜 에스테르
보르닐아세테이트
0.04-1.15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모노테르페노이드
케톤
카르본
0.02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p-사이멘-9-올
12.67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유제놀
4.61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티모퀴논
3.52-413.57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티모히드로퀴논
6.35-7.3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모노테르페노이드 알코올
카르바크롤
2.61-12.67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4-테르피네올
0.2-9.22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테르펜페놀
티몰
1.67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세스퀴테르펜
α-론지피넨
0.34-4.61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롱기폴렌
1.71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Z-γ-비사볼렌
2.30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E)-카리오필렌
0.02-4.61
에센셜 오일
( 133 , 135137 )
폴리페놀
mg/kg
카테킨
56.56-124.6
오일
( 128 )
에피카테킨
39.67-98.1
오일
( 128 , 138 )
1.28
새싹
0.64
뿌리
카테킨수화
7.26
새싹
( 128 , 138 )
3.4
뿌리
루틴
14 -117.7
오일
( 128 , 138 )
디하이드로퀘르시틴
4.05-31.45
오일
( 128 , 138 )
나린진
2.16-58.68
오일
( 128 , 138 )
퀘르시메리트린
5.89-39.89
오일
( 128 , 138 )
케르세틴
5.03-35.67
오일
( 128 , 138 )
2.56
새싹
2.61
뿌리
아피게닌
6.83
새싹
( 128 , 138 )
1.77
뿌리
아멘토플라본
2.91
새싹
( 128 , 138 )
플라본
3.4
새싹
( 128 , 138 )
0.54
뿌리
칼리스테핀
15.99-33.6
오일
( 128 , 138 )
갈산
27.86
새싹
( 128 , 138 )
30.59
뿌리
p-디히드록시벤조산
1.73
뿌리
( 138 )
클로로겐산
1.51
새싹
( 138 )
0.36
뿌리
바닐산
143.2
새싹
( 138 )
89.94
뿌리
트랜스-2-히드록시신남산
1.25
새싹
( 138 )
2.58
뿌리
트랜스계피산
15.47
새싹
( 138 )
0.98
뿌리
매크로 요소
mg/kg DW
칼륨(K)
708-7561
씨앗
( 129 , 130 )
마그네슘(Mg)
80-1878
씨앗
( 129 , 130 )
칼슘(Ca)
160-5089
씨앗
( 129 , 130 )
아연(Zn)
2.5-48.89
씨앗
( 129 , 130 )
망간(Mn)
1.5-22.73
씨앗
( 129 , 130 )
구리(Cu)
0.9-16.03
씨앗
( 129 , 130 )
철(Fe)
8.65-108.1
씨앗
( 129 , 130 )
인(P)
48.9-6197
씨앗
( 129 , 130 )
마이크로 요소
mg/kg DW
붕소(B)
19.42-23.6
씨앗
( 129 , 130 )
크롬(Cr)
0.291-0.65
씨앗
( 129 , 130 )
구리(Cu)
15.07-16.3
씨앗
( 129 )
몰리브덴(Mo)
0.221-0.40
씨앗
( 129 )
니켈(Ni)
3.49-5.18
씨앗
( 129 )

S: 씨앗, o: 오일, EO: 에센셜 오일, sh: 새싹, r: 뿌리

 

The most important due to their bioactivity are thymoquinone, nigellone, phytosterols, fatty acids, vitamins, and minerals (23). Thymoquinone (TQ) is the major seed essential oil component and most of the bioactivities have already been attributed to it (22, 2426). Concerning the N. sativa seed oil, its primary components are monoterpenes (87.7%) like p-cymene, carvacrol, α-thujene, terpinene, α-pinene, β-pinene, and its oxygenated derivatives (9.9%) (Figure 1), the rest being sesquiterpenes and derivatives (12, 27). Isoquinoline and indazole alkaloids (7, 28), saponins (29), cycloartenols (30), and flavonoids (11, 30) were also isolated and identified in the seeds.

생리 활성으로 인해 가장 중요한 것은 티모퀴논, 니겔론, 피토스테롤, 지방산, 비타민 및 미네랄입니다(23). 티모퀴논(TQ)은 주요 종자 에센셜 오일 성분이며 대부분의 생리 활성은 이미 이 성분에 기인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22, 24-26). N. sativa 종자유의 주요 성분은 p-시멘, 카르바크롤, α-투젠, 테르피넨, α-피넨, β-피넨과 같은 모노테르펜(87.7%)과 그 산소화 유도체(9.9%)이며(그림 1), 나머지는 세스퀴테르펜과 유도체입니다(12, 27). 이소퀴놀린과 인다졸 알칼로이드(7, 28), 사포닌(29), 사이클로아르테놀(30), 플라보노이드(11, 30)도 씨앗에서 분리 및 확인되었습니다.

 

Figure1

Chemical structure of some principal bioactive compounds in Nigella sativa

그림1

나이젤라 사티바의 주요 생리 활성 화합물의 화학 구조

 

The in vivo and in vitro studies showed that among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NSS,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ti-asthmatic (31), anti-cancer and anti-diabetic (18, 22, 3237), anti-hyperlipidemic (38, 39), anti-microbial (40, 41), anti-convulsant (42, 43), and analgesic activities (23, 44, 45) were intensively studied for their therapeutic potential. Thus, these pharmacological properties can be further translated into potent and therapeutically interesting activities on the immune, endocrine,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systems as well as into protective effects against different types of induced toxicity (11, 22, 4649), dermatological (50, 51), and metabolic effects (5254). Though, a convincing number of studies regarding N. sativa health benefits are already available its application in real life disease management is still missing. Thus,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provide the most important comprehensive scientific reports that could encourage the clinical use of N. sativa especially in cardiology and hematological malignancies. Also, the aim of this review was to analyze the most recent literature data regarding the effects of N. sativa on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the pathophysiology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The control of these pathophysiological processes and diseases remains problematic, despite the dedicated effort in this respect. Overall, we aim to show that the use of N. sativa finds a great scientific confirmation in preventive medical practice.

생체 내 및 시험관 내 연구 결과,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항천식(31), 항암 및 항당뇨(18, 22, 32-37), 항고지혈증(38, 39), 항균(40, 41), 항경련(42, 43), 진통(23, 44, 45) 등 NSS의 약리학적 특성 중 치료 잠재력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약리학적 특성은 면역, 내분비, 심혈관 및 호흡기 시스템에 대한 강력하고 치료적으로 흥미로운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유도 독성(11, 22, 46-49), 피부과(50, 51) 및 대사 효과(52-54)에 대한 보호 효과로 더 해석될 수 있습니다. N. sativa의 건강상의 이점에 관한 설득력 있는 연구가 이미 많이 있지만, 실제 질병 관리에 적용하는 것은 아직 부족합니다. 따라서 이 검토의 목적은 특히 심장학 및 혈액학 악성 종양에서 N. sativa의 임상적 사용을 장려 할 수있는 가장 중요한 포괄적 인 과학 보고서를 제공하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이 검토의 목적은 만성 질환 관리의 병태 생리학에서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에 대한 N. sativa의 효과에 관한 가장 최근의 문헌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병리 생리학적 과정과 질병을 통제하는 것은 이러한 측면에서 헌신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우리는 N. sativa의 사용이 예방 의료 행위에서 큰 과학적 확인을 찾았음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1알에 1000mg, 냉압착으로 착유한 터키산 블랙오일~

 

Methods (연구방법)

The artilcles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searched using the following databeses: PubMed, Web of Science, Science Direct, Scopus, and Google Scholar. The search was done using the keywords mentioned above. Special foscus was applied to the most recent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0 to 2018, which account for aproximately 65 % out of the total articles used in this review.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 to 2009 were aproximately 29%.

본 연구에 사용된 논문은 다음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검색했습니다: PubMed, Web of Science, Science Direct, Scopus 및 Google Scholar. 검색은 위에서 언급한 키워드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이 리뷰에 사용된 전체 논문 중 약 65%를 차지하는 2010년부터 2018년 사이에 출판된 가장 최근의 논문을 대상으로 특별 초점을 적용했습니다. 2000년부터 2009년 사이에 발표된 논문은 약 29%였습니다.

 

Nigella sativa in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의 니겔라 사티바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N. sativa were studied in various acute and chronic models of experimental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knowing that these two processes are interconnected (55-57). As observed in Table 2, N. sativa was used as oil, essential oil, or different types of extracts (water, hydro-alcoholic).

N. sativa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는 이 두 과정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실험적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의 다양한 급성 및 만성 모델에서 연구되었습니다(55-57). 표 2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N. sativa는 오일, 에센셜 오일 또는 다양한 유형의 추출물(물, 하이드로 알코올성)로 사용되었습니다.

 

Table 2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igella sativa and TQ, its main constituent

 
Type
Substance
Administrated dose
Experimental model
Anti-inflammatory effects
Observation
Reference
In vitro
Thymoquinone (TQ)

Calcium ionophore stimulated peritoneal leukocytes
(rats)
COX and 5-LO pathways of arachidonic acid metabolism were inhibited.
Thromboxane, leukotrienes B4, and C4 production was down-regulated.
The effect was dose-dependent.
TQ had a higher effect than NSO.
(139)
Nigella sativa oil (NSO)
NSO
12.5–50 mg/m
Calcium- or ionophore-stimulated neutrophils

The effect was dose-dependent possibly through the antioxidative action.
(140)
TQ
0.01 and 6.25 μg
Nige
llone
6.25 and 50 μg/ml
TQ
1, 3, 10, 100 µM/ml
Human granulocyte suspensions
LTC4 and LTB4 formation was inhibited.
LTC4 synth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LTA4 into LTC4 transformation in human blood cells was suppressed.
TQ effective concentration was close to TQ concentration used in animals.
(141)
In vivo
TQ
1 mg/kg
Allergic encephalomye
litis rat model
Perivascular inflammation was reduced.
Symptoms were reduc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influenced by the increased glutathione level.
(142)
TQ
15 mg/kg intraperitoneally (i.p.)
Multiple sclerosis mice model
Symptom developments were prevented in 90% of the subjects.
Inflammation and symptoms were improved in 50% of the subjects.

(143)
TQ
5 and 10 mg/kg
Acetic acid-induced colitis in rats
Myeloperoxidase activity, platelet activating factor, and histamine levels were restored.
Glutathione levels were reduced.
Anti-inflammatory effect of TQ can be mediated by its antioxidant action.
(144)
TQ
75 mg/kg of
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TNBS) induced colitis in rats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not changed.
mRNA expression for IL-1β, IL-6, TNF-α, and IFN-γ in the colonic tissue was not affected.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not reversed.
TQ anti-inflammatory effect in TNBS colitis was not proven.
(145)
NSO
2.5 ml/kg, orally (p.o.)
TNBS induced colitis
LDH activity, TNF-α, IL-1β, IL-6 levels in bloo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proven.
(146)
NSO

TNBS induced colitis
TNF-α, IL-1β, and IL-6, lactate dehydrogenase, triglycerides, and cholesterol in serum were decreased.
Neutrophil infiltration was inhibited.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was increased.
Myeloperoxidase (MPO) levels were decreased.
(147)
TQ
100 mg/kg
Chronic pancreatitis induced in rats
Amylase and lipase levels were changed.
Il-1β and IL-18 levels were decreased.
MPO activity and the oxidative stress index (OSI) were decreased.
(148)
NSO
0.66 ml and 1.55 ml/kg
i.p.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and cotton pellet granuloma formation in rats
Eicosanoids generation was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was inhibited.
(149)
Nigella sativa seeds (NSS) essential oil
100, 200 and 400 µL/kg, p.o. or i.p.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in rats
N. sativa essential oil had anti-inflammatory effect only in the i.p. administration.

(150)
N. sativa aqueous extract
500 mg/kg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Inflamm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Results were comparable to aspirin (100 mg/kg).
(151)
NSO
1g/ day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nti-inflammatory IL-10 increased.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TNF-α were non-significantly decreased.
Malondialdehyde (MDA) and NO serum levels were reduced.
(53)

표 2

Nigella sativa 와 그 주성분인 TQ 의 항염증 효과

 
유형
물질
투여량
실험모델
항염증 효과
관찰
참조
시험관 내
티모퀴논(TQ)

칼슘 이온 운반체 자극 복막 백혈구
(쥐)
아라키돈산 대사의 COX 및 5-LO 경로가 억제되었습니다.
트롬복산, 류코트리엔 B4 및 C4 생산이 하향 조절되었습니다.
효과는 용량 의존적이었습니다.
TQ는 NSO보다 더 높은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 139 )
나이젤라 사티 바 오일(NSO)
NSO
12.5~50mg/m
칼슘 또는 이온 운반체 자극 호중구

효과는 아마도 항산화 작용을 통해 용량 의존적이었습니다.
( 140 )
TQ
0.01 및 6.25μg
니게
일론
6.25 및 50μg/ml
TQ
1, 3, 10, 100μM/ml
인간 과립구 현탁액
LTC4 및 LTB4 형성이 억제되었습니다.
LTC4 신타제 활성이 유의하게 억제되었습니다.
인간 혈액 세포에서 LTA 4가 LTC 4 로 변환되는 것이 억제되었습니다.
TQ 유효 농도는 동물에 사용된 TQ 농도에 가깝습니다.
( 141 )
생체 내
TQ
1mg/kg
알레르기성
뇌척수염 쥐 모델
혈관주위 염증이 감소되었습니다.
증상이 감소되었습니다.
항염증 효과는 글루타티온 수치 증가에 의해 영향을 받았습니다.
( 142 )
TQ
15mg/kg 복강내(ip)
다발성 경화증 마우스 모델
피험자의 90%에서 증상 발현이 예방되었습니다.
염증 및 증상은 피험자의 50%에서 개선되었습니다.

( 143 )
TQ
5 및 10mg/kg
쥐의 아세트산 유발 대장염
골수과산화효소 활성, 혈소판 활성화 인자 및 히스타민 수치가 회복되었습니다.
글루타티온 수치가 감소했습니다.
TQ의 항염증 효과는 항산화 작용에 의해 매개될 수 있습니다.
( 144 )
TQ
75mg/kg
트리니트로벤젠 설폰산(TNBS)이 쥐의 대장염을 유발했습니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은 변화되지 않았습니다.
결장 조직에서 IL-1β, IL-6, TNF-α 및 IFN-γ에 대한 mRNA 발현은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
조직병리학적 변화는 역전되지 않았습니다.
TNBS 대장염에 대한 TQ 항염증 효과는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 145 )
NSO
2.5 ml/kg, 경구(po)
TNBS 유발 대장염
혈액 내 LDH 활성, TNF-α, IL-1β, IL-6 수준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이 입증되었습니다.
( 146 )
NSO

TNBS 유발 대장염
혈청 내 TNF-α, IL-1β, IL-6, 젖산탈수소효소, 중성지방,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다.
호중구 침윤이 억제되었습니다.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 활성이 증가했습니다.
골수과산화효소(MPO) 수치가 감소했습니다.
( 147 )
TQ
100mg/kg
쥐에서 유발된 만성 췌장염
아밀라아제와 리파아제 수치가 변경되었습니다.
Il-1β 및 IL-18 수준이 감소했습니다.
MPO 활성과 산화 스트레스 지수(OSI)가 감소했습니다.
( 148 )
NSO
0.66ml 및 1.55ml/kg
i.p.
쥐의 카라기난 유발 발 부종 및 면화 펠릿 육아종 형성
아이코사노이드 생성이 억제되었습니다.
지질 과산화가 억제되었습니다.
( 149 )
나이젤라 사티 바 씨앗(NSS) 에센셜 오일
100, 200 및 400 µL/kg, po 또는 ip
쥐의 카라기난 유발 발 부종
N. sativa 에센셜 오일은 복강내 투여에서만 항염증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 150 )
N. 사티 바 수성 추출물
500mg/kg
카라기난 유발 발 부종
염증이 눈에 띄게 감소했습니다.
결과는 아스피린(100mg/kg)과 비슷했습니다.
( 151 )
NSO
1g/일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항염증성 IL-10이 증가했습니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TNF-α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말론디알데히드(MDA)와 NO 혈청 수치가 감소했습니다.
( 53 )

Also, among bioactive compounds identified in N. sativa oil (NSO), TQ was intensively studied (58). Of the vast literature data, the most recent articles, analyzing both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were selected to identify how these processes are influencing each other in various illnesses.

또한, N. Sativa Oil(NSO)에서 확인된 생리 활성 화합물 중 TQ를 집중적으로 연구했습니다(58). 방대한 문헌 데이터 중에서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를 모두 분석한 가장 최근의 논문을 선택하여 이러한 과정이 다양한 질병에서 서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했습니다.

 

블랙씨드 오일 구매는 '뷰티텐더 블랙씨드(캡슐타입)'로~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 sativa was observed in an induced model of acute inflammation in rats (59). Within this experimental lipopolysaccharides (LPS) model, the productions of ROS (e.g., nitric oxide (NO)) and of inflammatory mediators (e.g.,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interleukins) were stimulated, generating liver and lung inflammation. The groups treated with N. sativa [500 mg/kg, intragastric (ig)] and NSO (5 ml/kg, ig) had the FDG (8F-fluoro-deoxy-D- glucose – used to assess the liver and lung inflammation status, with an increased rate in the inflammatory processes) uptakes nearly normal. Regarding the lipid peroxidation, malondialdehyde (MDA) levels decreas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N. sativa and NSO. Also, effective anti-oxidant properties were observ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N. sativa and NSO,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levels in erythrocyte, lung, and liver being decreased (59).

쥐의 급성 염증 유발 모델에서 N. sativa의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이 관찰되었습니다(59). 이 실험용 지질 다당류(LPS) 모델에서는 ROS(예: 산화질소(NO))와 염증 매개체(예: 종양괴사인자 알파(TNF-α), 인터루킨)의 생성을 자극하여 간과 폐에 염증을 일으켰습니다. N. sativa[500 mg/kg, 위내(ig)] 및 NSO(5 ml/kg, ig)로 치료한 그룹은 간 및 폐 염증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FDG(8F-플루오로 데옥시-D- 포도당 - 염증 과정의 증가 속도와 함께) 섭취량이 거의 정상에 가까웠습니다. 지질 과산화와 관련하여 말론디알데히드(MDA) 수치는 N. sativa 및 NSO로 치료한 그룹에서 감소했습니다. 또한, N. sativa와 NSO로 치료한 그룹에서 효과적인 항산화 특성이 관찰되었으며, 적혈구, 폐 및 간에서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 및 카탈라아제(CAT) 수치가 감소했습니다(59).

 

The effect of NSO on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was also studied in diabetes-induced rat animal model (60). The oxidative stress paramete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NO, Glutathione-GSH levels and Xanthine oxidase -XO, SOD, Glutathione peroxidise-GPx and Glutathione-S-transferase-GST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rat brain tissues. The combination of classical drugs used to treat type2-diabetes mellitus (metformin, glimepiride) with NSO (2.0 ml, oral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xidative stress markers. Therefore, TBARS, NO levels and XO activities, were restored to normal conditions values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lso, the combination of classical treatment with NSO determined significant elevations of anti-oxidant markers (GSH, GPx, GST, and SOD activities) when compared with diabetic non-treated groups (60). The effect of NSO on central inflammation process (TNF-α, IL-6, IL-1β,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as well as the expression level of nuclear factor kappa-B (NFκ-Bp65) were investigated in both serum and brain tissue. Serum anti-inflammatory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NSO, metformin, glimepiride and their combination as compared with control and diabetic groups. The same trend was observed in the levels of brain inflammatory cytokines. The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rat groups treated with NSO, classical therapy and combination of NSO with classical treatment (60). Thus, NSO, single or in combination with medical treatment suppressed both induced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process in type2-diabetes mellitus.

당뇨병을 유발한 쥐 동물 모델(60)에서도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에 대한 NSO의 효과를 연구했습니다. 쥐의 뇌 조직에서 산화 스트레스 매개변수(티오바르비투르산 반응성 물질 -TBARS, NO, 글루타치온-GSH 수준 및 잔틴 산화효소 -XO, SOD, 글루타치온 과산화물-GPx 및 글루타치온-S-전달효소-GST 활성)가 측정되었습니다. 제 2 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고전적인 약물 (메트포르민, 글리메피리드)과 NSO (2.0ml, 경구)의 조합은 산화 스트레스 마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따라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TBARS, NO 수치 및 XO 활동이 정상 상태 값으로 회복되었습니다. 또한, 고전적 치료와 NSO를 병용한 그룹은 치료하지 않은 당뇨병 그룹(60명)과 비교했을 때 항산화 마커(GSH, GPx, GST 및 SOD 활성)가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혈청과 뇌 조직에서 NSO가 중추 염증 과정(TNF-α, IL-6, IL-1β,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OS)에 미치는 영향과 핵 인자 카파-B(NFκ-Bp65)의 발현 수준을 조사했습니다. NSO, 메트포르민, 글리메피리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치료한 그룹은 대조군 및 당뇨병 그룹에 비해 혈청 항염증제 수치가 현저히 낮아졌습니다. 뇌 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치에서도 같은 경향이 관찰되었습니다. 이 수치는 NSO, 고전적 요법 및 NSO와 고전적 요법의 병용 요법으로 치료받은 쥐 그룹에서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 (60). 따라서 NSO, 단일 또는 의학적 치료와 병용하면 제 2 형 당뇨병에서 유도 된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 과정을 모두 억제했습니다.

 

The inflammatory processes, as well as oxidative stress parameters, were also investigated in an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animal model in rats (61). The aim was to control the inflammation and demyelination processes in EAE by using N. sativa seeds (NSS). As expected, NSS (2.8 g/kg) reduced inflammation and enhanced cerebellum remyelination as confirmed by the histopath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analysis (61).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explained by NSS inhibitory effect on astrocytes expression affecting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TGF-β1) production. The effect of NSS on oxidative stress process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levels of MDA, GSH, GST, NO, and catalase activity in the cerebellum and medulla of rats. A significant decrease of MDA levels was detected in the group fed with NSS 2 weeks prior to EAE induction (cerebellar samples) and in the group fed with NSS after the appearance of first clinical signs (medulla samples). Decreased catalase activity was observed for both cerebellar (groups fed with N.sativa after EAE induction) and medulla (groups fed with N. sativa both prior and after EAE induction) samples. Regarding GSH levels, the cerebellum samples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N. sativa groups as compared with the EAE group.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in the medulla samples too, but just for the group treated with N. sativa after EAE induction as compared with control levels (61). The promising results obtained in both groups treated with N. sativa prior to and after EAE induction suggests that N. sativa can be used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AE.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용 자가면역성 뇌척수염(EAE) 동물 모델(61)에서도 염증 과정과 산화 스트레스 매개변수를 조사했습니다. 이 실험의 목표는 N. sativa Seed(NSS)를 사용하여 EAE의 염증과 탈수초화 과정을 제어하는 것이었습니다. 예상대로, 조직병리학적, 면역조직화학적, 초구조적 분석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NSS(2.8g/kg)는 염증을 감소시키고 소뇌 재수초화를 향상시켰습니다(61). 항염증 효과는 형질 전환 성장 인자 베타 1(TGF-β1)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성상 세포 발현에 대한 NSS의 억제 효과로 설명되었습니다. 산화 스트레스 과정에 대한 NSS의 효과는 쥐의 소뇌와 수질에서 MDA, GSH, GST, NO 및 카탈라아제 활성 수준을 분석하여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EAE 유도 2주 전에 NSS를 먹인 그룹(소뇌 샘플)과 첫 임상 징후가 나타난 후 NSS를 먹인 그룹(수질 샘플)에서 MDA 수치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이 감지되었습니다. 소뇌(EAE 유도 후 N.sativa를 먹인 그룹)와 수질(EAE 유도 전후 모두 N. sativa를 먹인 그룹) 샘플 모두에서 카탈라아제 활성 감소가 관찰되었습니다. GSH 수치와 관련하여 소뇌 샘플은 EAE 그룹과 비교하여 두 그룹 모두에서 N. sativa가 유의하게 증가했습니다. 수질 샘플에서도 유의미한 증가가 관찰되었지만, 대조군 수준에 비해 EAE 유도 후 N. sativa로 치료받은 그룹에서만 유의미한 증가가 관찰되었습니다 (61). EAE 유도 전후에 N. sativa로 치료받은 두 그룹에서 얻은 유망한 결과는 N. sativa가 EAE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The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of N. sativa on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in clinically endometritic cows (62).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N. sativa was determined in relation to haptoglobin (Hp) and serum amyloid A (SAA) levels while under oxidative stress through MDA, SOD, and GSH-Px levels (62). The intrauterine infusion of N. sativa methanolic extract (100 ml, once a day) exerted anti-inflammatory effects. Thus, the levels of Hp and SAA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 treated with N. sativa as compared with control and ceftiofur hydrochloride groups (62). Oxidative stress induced process within the inflammation model was characterized by significant increases of GSH-Px and SOD levels and by the significant decrease of MDA levels in the groups treated with N. sativa and ceftiofur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 Also, the in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 sativa and ceftiofur groups in relation with MDA, SOD, and GSH-Px levels were attributed to the anti-oxidant property of N. sativa (62).

임상적으로 자궁 내막염이 있는 젖소(62)를 대상으로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파라미터에 대한 N. sativa의 메탄올 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했습니다. N. sativa의 항염증 효과는 산화 스트레스를 받는 동안 합토글로빈(Hp) 및 혈청 아밀로이드 A(SAA) 수치와 관련하여 MDA, SOD 및 GSH-Px 수치를 통해 결정되었습니다(62). N. sativa 메탄올 추출물 (100ml, 하루 한 번)의 자궁 내 주입은 항 염증 효과를 발휘했습니다. 따라서 대조군 및 세프 티오 푸르 염산염 그룹에 비해 N. sativa로 치료 한 그룹에서 Hp 및 SAA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 (62). 염증 모델 내에서 산화 스트레스 유발 과정은 대조군 C에 비해 N. sativa 및 세프티오푸르로 처리 된 그룹에서 GSH-Px 및 SOD 수준의 유의 한 증가와 MDA 수준의 유의 한 감소를 특징으로했습니다. 또한 MDA, SOD 및 GSH-Px 수준과 관련하여 N. sativa와 세프티오푸르 그룹 간의 미미한 차이는 N. sativa의 항산화 특성에 기인 한 것입니다 (62).

 

The effect of N. sativa hydro-alcoholic extract on inflammatory (IL 6 and TNF-a)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MDA, total thiol, and SOD) in a lipopolysaccharide inflammation-induced myocardial fibrosis in rats was also studied (63) . Levels of heart IL-6 and TNF α cytokines were reduced when the highest dose of N. sativa extract (400 mg/kg) was administrated,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63). Oxidative stress parameters were characterized by MDA reduction and total thiol, SOD, and catalase concentrations increase in heart samples. Because of these dose-dependent N. sativa changes it was concluded that administration of N. sativa improved myocardial fibrosis evolution through alteration of oxidative/anti-oxidative balance.

쥐의 지질 다당류 염증 유발 심근 섬유증에서 염증 (IL 6 및 TNF-a) 및 산화 스트레스 마커 (MDA, 총 티올 및 SOD)에 대한 N. sativa 하이드로 알코올 추출물의 효과도 연구되었습니다 (63) . 대조군과 비교하여 최고 용량의 N. sativa 추출물(400 mg/kg)을 투여했을 때 심장 IL-6 및 TNF α 사이토카인 수치가 감소했습니다(63). 산화 스트레스 매개변수는 심장 샘플에서 MDA 감소와 총 티올, SOD 및 카탈라아제 농도 증가로 특징지어졌습니다. 이러한 용량 의존적인 N. sativa의 변화로 인해 N. sativa의 투여가 산화/항산화 균형의 변화를 통해 심근 섬유화 진행을 개선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TQ, the major bioactive compound in N. sativa was also studied in different models of inflammation in relation to the oxidative stress processes (16, 64). The response modulation of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cytokine profile by TQ was investigated using the collagen-induced arthritis animal model in rats (65). Next, oxidative stress was monitored through myeloperoxidase-MPO, TBARS, lipid peroxidation-LPO, GSH, CAT, SOD, and NO measurement (65). The inflammatory process was followed through inflammatory mediators like IL-1β, IL-6, TNF-α, IL-10, interferon-gamma-IFN-γ, and Prostaglandin E2 - PGE2. They suggested that TQ (5 mg/kg body weight) modulated the antiarthritic effect in joint cartilage through significant suppression of LPO and MPO activity. Decreased NO levels, increased anti-oxidant enzymes activity, the cytokine imbalance, as well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accumulation and activation of polymorphonuclear cells (PMNs) suggested TQ’s antiarthritic effect (65).

N. sativa의 주요 생리활성 화합물인 TQ는 산화 스트레스 과정과 관련된 다양한 염증 모델에서도 연구되었습니다(16, 64). 또한 산화 스트레스 과정과 관련하여 다양한 염증 모델에서 N. sativa의 주요 생리 활성 화합물인 TQ를 연구했습니다(16, 64). 쥐의 콜라겐 유도 관절염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TQ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프로파일의 반응 조절을 조사했습니다(65). 다음으로 골수 산화 효소-MPO, TBARS, 지질 과산화-LPO, GSH, CAT, SOD 및 NO 측정을 통해 산화 스트레스를 모니터링했습니다(65). 염증 과정은 IL-1β, IL-6, TNF-α, IL-10, 인터페론-감마-IFN-γ, 프로스타글란딘 E2-PGE2와 같은 염증 매개체를 통해 추적했습니다. 연구진은 TQ(체중 5mg/kg)가 LPO와 MPO의 활성을 크게 억제하여 관절 연골의 항관절염 효과를 조절한다고 제안했습니다. NO 수치 감소, 항산화 효소 활성 증가, 사이토카인 불균형, 다형 핵세포(PMN)의 축적 및 활성화에 대한 억제 효과는 TQ의 항관절염 효과를 시사합니다(65).

 

The anti-inflammatory molecular mechanism of TQ was studied using complex in vivo and in vitro experimental settings (66). Within the in vitro lipopolysaccharide (LPS) -activated macrophages, and in vivo induced hepatitis (LPS/D-galactosamine and induced gastritis (EtOH/HCl) mouse models, TQ anti-inflammatory effect and its target proteins were approached (66). They showed that TQ (25 µM) strongly inhibited NO production, repressed NO synthase, TNF-α, cyclooxygenase (COX−2), IL−6, and IL-1β expression during in vitro experiments (66). During in vivo experiments, TQ (5 and 25 mg/kg) inhibited NO and PGE2, as well as IL-6 and TNF-α, and the genes responsible for iNOS and COX-2 production (66). They also showed that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was reduced due to suppression of inflammatory gene expression mediated through NF-κB (66). Finally, they proposed that TQ anti-inflammatory effects are probably due to degradation of interleukin-1 receptor-associated kinase 1(IRAK1) and by this the downstream reduction of NF-κB and of activator protein (AP-1) (66).

TQ의 항염증 분자 메커니즘은 복잡한 생체 내 및 시험관 내 실험 환경을 사용하여 연구되었습니다(66). 시험관 내 지질 다당류(LPS)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와 생체 내 유도 간염(LPS/D-갈락토사민 및 유도 위염(EtOH/HCl) 마우스 모델에서 TQ 항염증 효과와 그 표적 단백질에 접근했습니다(66). 그 결과, 시험관 내 실험에서 TQ(25 µM)가 NO 생성을 강력하게 억제하고, NO 합성효소, TNF-α,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2), IL-6 및 IL-1β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66). 생체 내 실험에서 TQ(5mg/kg 및 25mg/kg)는 NO와 PGE2, IL-6와 TNF-α, 그리고 iNOS와 COX-2 생성을 담당하는 유전자를 억제했습니다(66). 또한 췌관 선암의 염증 반응이 NF-κB를 매개로 한 염증 유전자 발현의 억제로 인해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66). 마지막으로, 연구진은 TQ의 항염증 효과가 아마도 인터루킨-1 수용체 관련 키나아제 1(IRAK1)의 분해와 이로 인한 NF-κB 및 활성화 단백질(AP-1)의 하류 감소에 기인한다고 제안했습니다(66).

 

It can be concluded that N. sativa and its derivatives (oil, seeds, extracts, and its active ingredients) exert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in the chronic inflammation processes, commonly encountered in many pathological diseases. Generally, the inflammatory process is described in relation with the specific changes in the central or local inflammatory cytokine profile (e.g., IL-6, Il-1β, TNF α, IL-10, INF-γ, and others) while, the oxidative stress process is commonly characterized using parameters like MDA, SOD, CAT, TBARS, NO, GSH, GST, and XO.

N. sativa와 그 유도체 (오일, 씨앗, 추출물 및 활성 성분)는 많은 병리학 적 질병에서 흔히 발생하는 만성 염증 과정에서 항 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발휘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염증 과정은 중추 또는 국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프로파일(예: IL-6, Il-1β, TNF α, IL-10, INF-γ 등)의 특정 변화와 관련하여 설명되며, 산화 스트레스 과정은 일반적으로 MDA, SOD, CAT, TBARS, NO, GSH, GST 및 XO와 같은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특징 지워집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literature studies, the use of N. sativa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s represents a very good promise. However, more studies are needed to fully understand how N. sativa could be used to control and reduce the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processes. So far, no clinical trial data are available, thus active research is essential. Since both processes are strongly linked and simultaneously described to initiate and maintain many pathological conditions, it would be very useful that clinical studies would approach the role of N. sativa in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from this perspective.

따라서 문헌 연구에 따르면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N. sativa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좋은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과정을 제어하고 줄이는 데 N. sativa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완전히 이해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아직까지 임상 시험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적극적인 연구가 필수적입니다. 두 과정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동시에 많은 병적 상태를 시작하고 유지하는 것으로 설명되기 때문에 임상 연구에서 이러한 관점에서 만성 질환 관리에서 N. sativa의 역할에 접근하는 것이 매우 유용 할 것입니다.

 

Nigella sativa and cardiovascular diseases

니겔라 사티바와 심혈관 질환

 

Cardiovascular diseases (CVD’s) are still considered the leading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every year about 17.1 million people die with cardiovascular problems like heart attack, stroke, and heart failure (67, 68). It is supposed that the occurrence of deaths may increase to 23.6 million in 2030 (WHO 2009). CVD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worldwide mainly associated with various factors such as elevated total cholesterol serum, raised LDL and increase in LDL oxidation, high platelet aggregation, hypertension, and smoking (69). Besides this, augmented oxidative stress also plays a crucial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CVD such as atherosclerosis, heart failure, hypertension, cardiac hypertrophy, and ischemia-reperfusion (70). Also,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are responsible for vascular damage common to hypertension, hyperlipidemia, and diabetes. The control of these pathologies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as they can degenerate into CVDs that are the main cause of death in Western countries.

심혈관 질환(CVD)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여전히 이환율과 사망률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약 1,710만 명이 심장마비, 뇌졸중, 심부전과 같은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합니다(67, 68). 2030년에는 사망자 수가 2,36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WHO 2009). CVD는 주로 총 콜레스테롤 혈청 상승, LDL 상승 및 LDL 산화 증가, 높은 혈소판 응집, 고혈압 및 흡연과 같은 다양한 요인과 관련된 전 세계 주요 사망 원인입니다(69). 이 외에도 산화 스트레스 증가는 죽상 경화증, 심부전, 고혈압, 심장 비대, 허혈 재관류와 같은 CVD의 병태 생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70). 또한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에 흔히 나타나는 혈관 손상의 원인이 됩니다. 이러한 병리는 서구 국가에서 주요 사망 원인인 심혈관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이를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There are several synthetic therapeutic agents available for the treatment of different cardiovascular disorders at the clinical level, but most of them are facing the problem of unwanted or side effects, inefficacy in a variety of patients, and pharmacokinetic problems. Moreover, the interaction of cardiovascular medication with other drugs also limits the use of certain medications. In this regard, alternative therapies with diverse clinical applications, their effect in multiple patients together with their reasonable safety profile are the target of several research groups around the world. Thus natural healing agents could be considered an ideal approach to these limitations.

임상 수준에서 다양한 심혈관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있는 여러 합성 치료제가 있지만 대부분은 원치 않는 부작용, 다양한 환자에서 비효율성 및 약동학 문제에 직면 해 있습니다. 또한 심혈관 약물과 다른 약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특정 약물의 사용이 제한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임상 적용, 여러 환자에 대한 효과 및 합리적인 안전성 프로필을 갖춘 대체 요법은 전 세계 여러 연구 그룹의 목표입니다. 따라서 자연 치유제는 이러한 한계에 대한 이상적인 접근 방식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Among all natural product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N. sativa and its constituents showed interesting activity against al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both for their direct pharmacological actions and for its anti-oxidant capacity (Figure 2).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는 모든 천연물 중에서 N. sativa와 그 성분은 직접적인 약리 작용과 항산화 능력 모두에서 모든 심혈관 위험 요인에 대해 흥미로운 활성을 보였습니다 (그림 2).

 

Figure 2

Proposed mechanism of Nigella sativa in relation to cardiovascular diseases

그림 2

심혈관 질환과 관련된 니겔라 사티바의 제안된 메커니즘

 

↑: increase; ↓: decrease; Ca2+, calcium (II) ion; Na+, sodium ion; K+, potassium ion; Cl-, chloride ion; HMG-CoA reductase hydroxyl methyl glutaryl reductase, TC: total cholesterol; LDL: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G: triglyceride; VLDL-C: very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증가; ↑: 증가; ↓: 감소; Ca2+, 칼슘(II) 이온; Na+, 나트륨 이온; K+, 칼륨 이온; Cl-, 염화물 이온; HMG-CoA 환원효소 하이드 록실 메틸 글루타릴 환원효소, TC: 총 콜레스테롤; LDL: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TG: 트리글리세리드; VLDL-C: 초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HDL: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Antihypertensive effects of Nigella sativa

니겔라 사티바의 항고혈압 효과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volatile oil of N. sativa and TQ, the most pharmac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found in the black seed, decrease both the arterial blood pressure (BP) and heart rate (71)including stroke, coronary artery disease, heart failure, and peripheral vascular disease. The increase in oxidative stress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hypertension. Increase of blood pressure is due to an imbalance between anti-oxidants defence mechanisms and free radical productions. Excessiv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educes nitric oxide bioavailability leading to an endothelial dysfunction and a subsequent increase in total peripheral resistance. Hypertension can cause few symptoms until it reaches the advanced stage and poses serious health problems with lifelong consequences. Hypertensive patients are required to take drugs for life to control the hypertension and prevent complications. Some of these drugs are expensive and may have adverse reactions. Hence, it is timely to examine scientifically, complimentary therapies that are more effective and with minimal undesirable effects. Nigella sativa (NS. In a recent systematic review , the results of 11 published studies on humans exploring the BP-lowering effects of N. sativa treatment have been reported (72). Meta-analysis showed that N. sativa treatment for a period of 4–12 weeks is able to reduce both systolic BP and diastolic BP (72). Furthermore, a subgroup analysis revealed that N. sativa powder seems to have more beneficial effects compared with NSO. The exact mechanism involved in the N. sativa antihypertensive action is not well established. Many hypotheses have been extrapolated from the results of animal studies and they include a cardiac depressant effect, calcium channel blocking property, and a diuretic effect. The cardiac depressant effect of N. sativa seems to be mediated via central mechanisms involving vasomotor center in the medulla and sympathetic outflow to periphery rather than to NO or eicosanoid (71) including stroke, coronary artery disease, heart failure, and peripheral vascular disease. The blockage of calcium channels is mainly due to thymol, one of the active compounds of NS. Thymol reduces Ca2+ currents through L-type Ca2+ channels, thus inducing vascular smooth muscle cell relaxation. It has also been observed that thymol exerts a negative inotropic action on canine and guinea pig-isolate cardiac preparations (73). Finally,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N. sativa increases Na+, K+, and Cl- excretion (74). This diuretic effect enhances the other hypotensive effects described above.

블랙씨드에서 발견되는 가장 약리학적 활성 성분인 N. sativa의 휘발성 오일과 TQ는 뇌졸중, 관상 동맥 질환, 심부전 및 말초 혈관 질환을 포함하여 동맥 혈압 (BP)과 심박수를 모두 감소시키는 것으로보고되었습니다 (71) 뇌졸중, 관상 동맥 질환, 심부전 및 말초 혈관 질환.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는 고혈압의 발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혈압 상승은 항산화제 방어 메커니즘과 활성 산소 생성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활성 산소 종의 과도한 생성은 산화질소 생체 이용률을 감소시켜 내피 기능 장애와 그에 따른 총 말초 저항의 증가로 이어집니다. 고혈압은 진행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평생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고혈압 환자는 고혈압을 조절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평생 약물을 복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약물 중 일부는 비싸고 부작용이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더 효과적이고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과학적으로 보완 요법을 검토하는 것이 시기 적절합니다. 니겔라 사티바 (NS. 최근 체계적 문헌고찰 에 따르면, 사람을 대상으로 한 11건의 연구 결과에서 니겔라 사티바 치료의 혈압 강하 효과가 보고되었습니다(72). 메타 분석에 따르면 4-12주 동안 N. sativa를 치료하면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모두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72). 또한, 하위 그룹 분석에 따르면 N. sativa 분말은 NSO에 비해 더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 sativa의 항고혈압 작용에 관여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잘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동물 연구 결과에서 많은 가설이 추정되었으며 여기에는 심장 억제 효과, 칼슘 채널 차단 특성 및 이뇨 효과가 포함됩니다. N. sativa의 심장 억제 효과는 뇌졸중, 관상 동맥 질환, 심부전, 말초 혈관 질환을 포함하여 수질의 혈관 운동 중추와 말초로의 교감 신경 유출과 관련된 중추 메커니즘을 통해 NO 또는 에이코사노이드(71)가 아닌 말초로의 교감 신경 유출을 통해 매개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칼슘 채널의 막힘은 주로 NS의 활성 화합물 중 하나인 티몰 때문입니다. 티몰은 L형 Ca2+ 채널을 통해 Ca2+ 전류를 감소시켜 혈관 평활근 세포 이완을 유도합니다. 또한 티몰은 개와 기니피그 분리 심장 제제에서 음의 등방성 작용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73). 마지막으로, N. sativa는 Na+, K+ 및 Cl- 배설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74). 이러한 이뇨 효과는 위에서 설명한 다른 저혈압 효과를 향상시킵니다.

 

Alongside these described effects, it is important to underline how the anti-oxidant effect of N. sativa is important for limiting hypertension. It is well known that oxidative stress influences the pathogenesis of essential hypertension or the arterial damage produced during essential hypertension (75). In fact, oxidative stress may play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via the following mechanisms: enhanced sequestration of NO by ROS (76), formation of lipid peroxidation products (77), and depletion of NOS cofactors such as tetrahydrobiopterin (78). Lastly, it may cause functional and structural changes in the vascular wall and blood vessels (79). Among all constituents of NS, TQ seems to be the one mainly involved in this anti-oxidant effect at the base of the anti-hypertensive effect. TQ improves endothelial function by reducing oxidative stress and improving the expression levels of eNOS (17). Furthermore, it has been proven that NSO is able to mediate an anti-hypertensive effect as it reduces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activity and increases the heme oxygenase (HO-1) activity. ACE promotes the production of angiotensin II (Ang II), which has a direct vasoconstrictor effect on the vessels but which is also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ROS, which exacerbates vascular damage, while HO-1 reduces the activity of Ang II (75).

위에서 설명한 효과와 함께, N. sativa의 항산화 효과가 고혈압을 제한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화 스트레스가 본태성 고혈압의 발병이나 본태성 고혈압 중에 발생하는 동맥 손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75). 실제로 산화 스트레스는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고혈압 발병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ROS에 의한 NO의 격리 강화(76), 지질 과산화 생성물 형성(77), 테트라하이드로비옵테린과 같은 NOS 보조 인자의 고갈(78). 마지막으로 혈관벽과 혈관에 기능적 및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79). NS의 모든 성분 중에서 항고혈압 효과의 기저에 있는 항산화 효과에 주로 관여하는 성분은 TQ인 것으로 보입니다. TQ는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고 eNOS의 발현 수준을 개선하여 내피 기능을 개선합니다(17). 또한 NSO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활성을 감소시키고 헴 옥시게나제(HO-1) 활성을 증가시켜 항고혈압 효과를 매개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 ACE는 혈관에 직접적인 혈관 수축 효과가 있지만 혈관 손상을 악화시키는 ROS의 생성도 담당하는 안지오텐신 II(Ang II)의 생성을 촉진하는 반면, HO-1은 Ang II의 활성을 감소시킵니다(75).

 

 

Hypolipidemic effects of Nigella sativa

니겔라 사티바의 고지혈증 효과

 

Many studies report that N. sativa significantly affects the lipid profile by reducing serum cholesterol LDL and triglycerides levels (80) both in animals and in humans. In fact,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etroleum ether extract of N. sativa (2 g/kg/day) reduces plasma triglycerides and increases HDL-cholesterol in rats (37) and similar effects have been observed in normal rats treated with NSO. In rabbits fed a cholesterol-rich diet, TQ consumption (3.5 mg/kg, orally) reduces total cholesterol, LDL, and triglycerides and increases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80, 81).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showed that N. sativa consumption (2 g/day for 4 weeks) has beneficial effects in the treatment of hypercholesterolemia (82). Another study conducted on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showed that a dose of 1 g/day of N. sativa powder for a period of two months induces a significant decrease in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levels, as well as an increase in HDL-cholesterol levels (83). The effects of powdered N. sativa (1 g/day) have also been evaluated in menopausal women, one of the high-risk groups for developing dyslipidemia.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G, LDL,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84). A large randomized clinical trial evaluated if N. sativa supplement (500 mg/day) increases the effect of simvastatin, a widely used hypolipidemic drug. Data from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cholesterol, TG, and LDL levels in N. sativa plus simvastatin-treated patients compared with patients treated with simvastatin alone (85). The mechanisms by which N. sativa exerts this hypolipidemic effect are numerous but are all hypothesized based on animal studies. It has been proposed that N. sativa reduces the synthesis of cholesterol by hepatocytes and lowers its adsorption from the small intestine (86). It was also proposed that N. sativa stimulates cholesterol secretion in the bile (87). Furthermore, anti-oxidant components present in N. sativa can prevent non-enzymatic lipid peroxidation, which is a key factor in the atherosclerotic process (88). In addition, the inhibition of the inflammatory mediator’s produ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evention of endothelial dysfunction. Inflammatory cells such as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and vascular endothelial cells are activated in hypercholesterolemia and cause overproduction of free radicals. These free radicals are, in turn, implicated in the initial and development stages of atherosclerosis by oxidation of Ox-LDL and contributed to the inflammatory state of atherosclerosis (89). N. sativa reduces the foam cell formation in the blood vessel wall that accelerates the local inflammatory response that eventually leads to atherosclerotic plaque formation (90). Furthermore, it has been reported that TQ improved high cholesterol in the blood and prevented making plaque through decreasing oxidative stress and lipid profiles (91).

많은 연구에 따르면 N. sativa는 동물과 사람 모두에서 혈청 콜레스테롤 LDL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치 (80)를 감소시켜 지질 프로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합니다. 실제로, N. sativa의 석유 에테르 추출물(2g/kg/일)은 쥐의 혈장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37), NSO로 치료한 정상 쥐에서도 유사한 효과가 관찰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콜레스테롤이 풍부한 사료를 먹인 토끼에서 TQ 섭취(3.5mg/kg, 경구)는 총 콜레스테롤, LDL 및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 농도를 증가시킵니다(80, 81). 무작위 위약 대조 임상 시험에 따르면 N. sativa 섭취 (4 주 동안 2g / 일)는 고 콜레스테롤 혈증 치료에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2). 고 콜레스테롤 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2 개월 동안 1g / 일의 N. sativa 분말을 복용하면 트리글리세리드 및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크게 감소하고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합니다 (83). 이상지질혈증 발병 고위험군 중 하나인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도 N. 사티바 분말(하루 1g)의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그 결과 중성지방, LDL,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84). 대규모 무작위 임상 시험에서는 N. sativa 보충제(500 mg/일)가 널리 사용되는 고지혈증 치료제인 심바스타틴의 효과를 증가시키는지 평가했습니다. 이 연구의 데이터에 따르면 심바스타틴을 단독으로 투여한 환자에 비해 N. sativa와 심바스타틴을 함께 투여한 환자의 콜레스테롤, TG, LDL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85). N. sativa가 이러한 고지혈증 효과를 발휘하는 메커니즘은 다양하지만 모두 동물 연구를 기반으로 한 가설입니다. N. sativa는 간세포에 의한 콜레스테롤 합성을 감소시키고 소장에서의 흡착을 낮추는 것으로 제안되었습니다 (86). 또한 N. sativa는 담즙에서 콜레스테롤 분비를 자극한다고 제안되었습니다 (87). 또한, N. sativa에 존재하는 항산화 성분은 죽상 동맥 경화 과정의 핵심 요소 인 비 효소 지질 과산화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88). 또한 염증 매개체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은 내피 기능 장애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다형 핵 백혈구 및 혈관 내피 세포와 같은 염증 세포는 고 콜레스테롤 혈증에서 활성화되어 자유 라디칼의 과잉 생성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자유 라디칼은 Ox-LDL의 산화에 의해 죽상 동맥 경화증의 초기 및 발달 단계에 관여하고 죽상 동맥 경화증의 염증 상태에 기여합니다 (89). N. sativa는 혈관벽의 거품 세포 형성을 감소시켜 국소 염증 반응을 가속화하여 결국 죽상 경화성 플라크 형성으로 이어집니다 (90). 또한, TQ는 혈중 고콜레스테롤을 개선하고 산화 스트레스와 지질 프로파일을 감소시켜 플라크 생성을 예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91).

 

 

Anti-diabetic effects of Nigella sativa

니겔라 사티바의 항당뇨 효과

 

N. sativa shows interesting anti-diabetic properties, as reported by several studi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supplementation of 26.7 mg/kg/day of N. sativa seed for 12 weeks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fasting blood glucose, 2 hr post-prandial blood glucose, glycosylated hemoglobin, and insulin resistance, without affecting renal or hepatic functions (87). A subsequent study, conducted by the same research group, confirmed these favorable effects and showed that they also persist along the one year study period (92).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another study in which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received 30 mg/kg/day of NSO for 3 months in addition to their anti-diabetic drug (93). Studies conducted on animals have allowed highlighting that N. sativa inhibits sodium-dependent absorption of D-glucose (54), enhances glucose-induced insulin release from Langherans islets (94), and stimulates glucose uptake in skeletal muscles and adipocytes (95). The common denominator of all these observed effects is the reduction of oxidative stress. In fact, free radicals cause over generation of ROS, which initiates several pathways related to the inflammatory signaling cascades which will lead to inflammation (96) finally causing the apoptosis of pancreatic β cell (97, 98). Thus, N. sativa seed, NSO and TQ decrease oxidative stress therefore preserving the pancreatic β cell integrity (80, 99) and increasing peripheral insulin sensitivity (92). Furthermore, N. sativa reduces the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diabetes as it preserves the integrity of the vessel wall as described above (17).

여러 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N. sativa는 흥미로운 항당뇨 효능을 나타냅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12주 동안 26.7 mg/kg/일의 N. sativa를를 보충한 결과, 신장이나 간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공복 혈당, 식후 2시간 혈당, 당화혈색소 및 인슐린 저항성이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87). 같은 연구 그룹이 수행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가 1년의 연구 기간 동안에도 지속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92).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항당뇨병제와 함께 NSO를 3개월간 30 mg/kg/일 투여한 또 다른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습니다(93).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N. sativa가 나트륨 의존성 D- 포도당 흡수를 억제하고(54), 랑게란스 섬에서 포도당에 의한 인슐린 방출을 강화하며(94), 골격근과 지방 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자극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95). 이러한 모든 관찰된 효과의 공통분모는 산화 스트레스의 감소입니다. 사실, 활성 산소는 염증 신호 캐스케이드와 관련된 여러 경로를 시작하여 염증을 유발하고 (96) 최종적으로 췌장 β 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발하는 (97, 98) ROS의 과잉 생성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N. sativa 씨앗은은, NSO 및 TQ는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췌장 β 세포 무결성을 보존하고 (80, 99) 말초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킵니다 (92). 또한, 위에서 설명한 대로 혈관벽의 완전성을 보존하기 때문에 당뇨병과 관련된 심혈관 합병증을 감소시킵니다(17).

 

The multiple uses of N. sativa in folk medicine encouraged many investigators to isolate its active components in order to evaluate their effects in cardiovascular disorders. The analysis of the data reported in the literature shows that the efficacy of N. sativa in these pathologies is mainly ascribed to its anti-oxidant activity. However, some aspects limit the possibility to draw unequivocal conclusions. First aspect refers to the large number of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and by contrast to the few in humans. Second aspect concerns the fact that there is not a general formulation for N. sativa administration, sometimes being used as powder, other times as an oil, and in many cases only TQ from N. sativa was analyzed. The third aspect refers to the different doses used, and to the fact that sometimes these are not well defined. So, long-term human trials are required to better establish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N. sativa in cardiovascular disorders, diabetes, or to a cluster of metabolic conditions that eventually affects the heart disease management.

민간 요법에서 N. sativa의 다양한 용도로 인해 많은 연구자들은 심혈관 질환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활성 성분을 분리하도록 장려했습니다. 문헌에 보고된 데이터를 분석 한 결과 이러한 병리에서 N. sativa의 효능은 주로 항산화 활성에 기인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일부 측면은 명확한 결론을 도출 할 수있는 가능성을 제한합니다. 첫 번째 측면은 수행 된 많은 수의 시험관 및 생체 내 연구와 인간을 대상으로 한 소수의 연구와 대조적으로 수행 된 많은 수의 시험관 및 생체 내 연구를 말합니다. 두 번째 측면은 N. sativa 투여에 대한 일반적인 제형이 없으며 때로는 분말로, 다른 경우에는 오일로 사용되며 많은 경우 N. sativa의 TQ 만 분석되었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습니다. 세번째 측면은 사용되는 용량이 다양하고 때로는 잘 정의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심혈관 질환, 당뇨병 또는 궁극적으로 심장 질환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대사 질환에 대한 N. sativa의 약리 활성을 더 잘 확립하려면 장기적인 인간 실험이 필요합니다.

 

Nigella sativa and hematological malignancies

니겔라 사티바 및 혈액학적 악성 종양

 

Hematological malignancies are cancers broadly divided based on their origin (myeloid and lymphoid) and evolution (acute or chronic). They represent around 10% of all cancers, representing thus an important problem (100)>2000 diagnoses annually, socio-demographically representative of the UK. Their prevalence is expected to increase, as the life expectancy increases and the population gets older. Major types of hematological malignancies include non-Hodgkin lymphoma, multiple myeloma, chronic myeloid leukemia, acute myeloid leukemia, chronic myeloid leukemia, and myelodysplastic syndrome. Although sometimes the hematological malignancies are indolent, most of the patients will need treatment. Treatment-related toxicity can be a major issue in some patients, usually the treatment consisting in prolonged exposure to various combined chemotherapy regimens.

혈액학적 악성 종양은 크게 기원(골수성 및 림프성)과 진화(급성 또는 만성)에 따라 구분되는 암입니다. 혈액암은 전체 암의 약 10%를 차지하며, 영국에서 사회인구학적으로 매년 2000건 이상 진단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기대 수명이 늘어나고 인구가 고령화됨에 따라 유병률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혈액암의 주요 유형에는 비호지킨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만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골수이형성증후군 등이 있습니다. 때때로 혈액학적 악성 종양이 무증상인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환자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관련 독성은 일부 환자에서 주요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양한 복합 화학 요법에 장기간 노출되는 치료로 구성됩니다.

 

The anti-cancer effects of N. sativa and TQ were analyzed in vitro and in vivo, in relationship with various types of cancers, mostly solid ones. Most of them showed unequivocally anti-proliferative, cytotoxic, pro-apoptotic, and anti-metastatic effects (101). A limited number of studies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Q and hematological malignancies. As these studies were not systematically reviewed, we chose to focus on them in this review, rather than on studies performed on solid cancers.

N. sativa와 TQ의 항암 효과는 시험관 및 생체 내에서 다양한 유형의 암, 주로 고형 암과의 관계에서 분석되었습니다. 그들 대부분은 명백하게 항 증식, 세포 독성, 세포 자멸사 및 항 전이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101). TQ와 혈액 악성 종양 사이의 관계를 평가한 연구는 제한적이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검토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리뷰에서는 고형암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보다는 혈액암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습니다.

 

 

TQ effects on acute leukemia cells

급성 백혈병 세포에 대한 TQ 효과

 

Acute myeloid an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s have a poor prognosis, despite the progress made regarding diagnosis and treatment. Acute myeloid leukemia is the most frequent leukemia in adults, its incidence increasing with age. However, in children,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s several times more frequent than acute myeloid leukemia. El-Mahdy et al., (2005) (102) were among the first to provide evidence on how TQ induces apoptosis in leukemic cells. They analyzed the p53-null myeloblastic leukemia HL-60 cell line. They showed that TQ (25, 50 and 100 µM) had a dose- and time-dependent cytotoxic effect on the cells, the IC50 (half-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being achieved at 23 μM, after 24 hr of TQ exposure. TQ also disrupted the mitochondrial membrane, favored cytochrome c release into the cytoplasm, activated caspases 3, 8, and 9, pro-apoptotic protein Bax up-regulation, and anti-apoptotic protein Bcl-2 down-regulation (102). The effects of TQ (0, 1, 3, 10, 20, 30, 50, 100 µM) 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using a p53-mutated clone of the human leukemic T-cell line Jurkat were investigated (103). Following the exposure to TQ for 24 hr, both the proliferation and viability of the Jurkat cells were diminish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IC50 being 24.2 +/- 0.2 μM. Next, the authors focused on the apoptotic mechanisms triggered by TQ. First, they observed an increasing number of sub-G0/G1 cells (a sign of apoptosis), in parallel with increasing doses of TQ. They went on to demonstrate that TQ stimulates the production of ROS, which destabilizes the mitochondrial membrane. Then, they noted the expression of p73 increment, a protein that regulates cell cycle progression. This was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UHRF1, HDAC1, and DNMT1 proteins (103)by focusing on the anti-apoptotic and epigenetic integrator UHRF1 which is essential for cell cycle progressio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effects of a known anti-neoplastic drug, thymoquinone (TQ. UHRF1 has been shown to have anti-apoptotic properties (104). Thus, its down-regulation would favor apoptosis. In fact, UHRF1 gained considerable interest during recent years. Since it is expressed in most of the cancers, it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universal” cancer biomarker (104). The same research team that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TQ, and p73 and UHRF1 deregulation demonstrated later that this process was preceded by a down-regulation of PDE1A, a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 (105)the active principle of Nigella sativa black seeds, has anti-proliferative properties on numerous cancer cell types. Others and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TQ acts as agent that triggers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through either a p53- or p73-dependent pathway. However, the immediate targets recruited upon TQ-induced cytotoxicity have not yet been clearly identified. We therefore asked whether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s (PDEs) among the proteins down-regulated by TQ in Jurkat cells, DNMT1 was mentioned too (103)by focusing on the anti-apoptotic and epigenetic integrator UHRF1 which is essential for cell cycle progressio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effects of a known anti-neoplastic drug, thymoquinone (TQ. The effects exerted by TQ on DNMT1 in acute myeloid leukemia cells were demonstrated using in vitro, ex vivo and in vivo models - Kasumi-1, MV4-11, THP-1, and ML- 1 cell lines, primary cells from leukemia patients (with 1, 10, 30, and 300 nM, 1, 3, 10, 30, and 100 μM of TQ) and a murine leukemia model (with 0, 15, and 30 mg/kg TQ, intravenous injection) (106). It was observed that TQ not only binds directly to the catalytic domain of DNMT1, but also diminishes DNMT1 expression. Thus, TQ produces DNA hypomethylation, promoting apoptosis in the leukemic cells. In the light of these findings, TQ could become a DNA hypomethylating adjuvant agent used in the therapy of acute myeloid leukemia, along with the already approved DNA hypomethylating drugs, namely azacitidine and decitabine (106).

급성 골수성 백혈병과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은 진단과 치료에 관한 진전에도 불구하고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성인에게 가장 흔한 백혈병으로 나이가 들면서 발병률이 증가합니다. 그러나 소아에서는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보다 몇 배 더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El-Mahdy 등은 (2005) (102)는 TQ가 백혈병 세포에서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방법에 대한 증거를 최초로 제시했습니다. 이들은 p53-null 골수모세포성 백혈병 HL-60 세포주를 분석했습니다. 연구팀은 TQ(25, 50 및 100 µM)가 세포에 용량 및 시간 의존적인 세포 독성 효과를 나타냈으며, 24시간 TQ 노출 후 23 μM에서 IC50(반 최대 억제 농도)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TQ는 미토콘드리아 막을 파괴하고 세포질로의 사이토크롬 c 방출을 촉진하며 카스파제 3, 8, 9를 활성화하고, 세포 사멸 단백질 Bax를 상향 조절하고, 항세포 사멸 단백질 Bcl-2를 하향 조절했습니다(102). 인간 백혈병 T 세포주 Jurkat의 p53 돌연변이 클론을 사용하여 증식 및 세포 사멸에 대한 TQ(0, 1, 3, 10, 20, 30, 50, 100 µM)의 영향을 조사했습니다(103). 24시간 동안 TQ에 노출한 결과, Jurkat 세포의 증식과 생존력은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했으며, IC50은 24.2 +/- 0.2 μM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음으로 저자들은 TQ에 의해 촉발되는 세포 사멸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먼저, 연구진은 TQ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 사멸의 징후인 하위 G0/G1 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이어서 연구진은 TQ가 미토콘드리아 막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활성 산소(ROS)의 생성을 자극한다는 사실을 입증했습니다. 그런 다음 연구팀은 세포 주기 진행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p73의 발현이 증가한다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세포주기 진행에 필수적인 항세포사멸 및 후성유전학적 통합인자인 UHRF1에 주목해 UHRF1, HDAC1, DNMT1 단백질(103)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위해 항종양제로 알려진 티모퀴논(TQ)의 효과를 분석했습니다. UHRF1은 항세포사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04). 따라서 하향 조절은 세포 사멸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UHRF1은 최근 몇 년 동안 상당한 관심을 받았습니다. 대부분의 암에서 발현되기 때문에 "보편적인" 암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104). TQ와 p73 및 UHRF1 조절 완화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 동일한 연구팀은 나중에 이 과정이 순환 뉴클레오티드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인 PDE1A의 하향 조절에 의해 선행된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105)니겔라 사티바 블랙씨드의 활성 원리는 수많은 암 세포 유형에서 항증식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연구자들과 우리는 이전에 TQ가 p53 또는 p73 의존 경로를 통해 세포주기 정지 및 세포 사멸을 유발하는 작용제로 작용한다고 보고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TQ에 의한 세포 독성 유발 시 즉각적으로 모집되는 표적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순환 뉴클레오타이드 포스포디에스테라제(PDE)가 Jurkat 세포에서 TQ에 의해 하향 조절되는 단백질 중에서 세포 주기 진행에 필수적인 항-아포토시스 및 후생유전 통합자 UHRF1에 초점을 맞춰 DNMT1도(103) 언급되었는지 여부를 물었습니다.. 이를 위해 알려진 항종양 약물인 티모퀴논(TQ)의 효과를 분석했습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 세포에서 DNMT1에 대한 TQ의 효과는 시험관, 생체 외 및 생체 내 모델인 Kasumi-1, MV4-11, THP-1 및 ML- 1 세포주, 백혈병 환자의 일차 세포(1, 10, 30 및 300 nM, 1, 3, 10, 30 및 100 μM의 TQ) 및 쥐 백혈병 모델(0, 15 및 30 mg/kg TQ, 정맥 주사)을 사용하여 입증되었습니다(106). 그 결과, TQ는 DNMT1의 촉매 도메인에 직접 결합할 뿐만 아니라 DNMT1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 따라서 TQ는 DNA 저메틸화를 생성하여 백혈병 세포의 세포 사멸을 촉진합니다. 이러한 발견에 비추어 볼 때, TQ는 이미 승인된 DNA 저메틸화 약물인 아자시티딘 및 데시타빈과 함께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에 사용되는 DNA 저메틸화 보조제가 될 수 있습니다(106).

 

The effects of TQ on acute lymphocyte leukemic cell line (CEMss) were also investigated (107). TQ (0, 5, 10, and 20 μg/ml), had cytotoxic effects, with an IC50 value of 1.5±0.04 μg/ml, after 24 hr of TQ exposure. TQ also increased ROS production and favored apoptosi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with increased activities for caspases 3, 8, and 9, decreased expression of Bcl-2, and increased expression of Bax (107). The same research team expanded their work on WEHI-3 cell line, which has features of myelomonocytic leukemia. The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Q and this cell line. They also injected WEHI-3 cells to BALB/c mice, in order to assess the in vivo effects of TQ. TQ had cytotoxic and pro-apoptotic effects on WEHI-3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IC50 being 2.0±0.04 µg/ml, after 24 hr of exposure. TQ also reduced the size of spleen and liver of BALB/c mice injected with WEHI-3 cells (108).

급성 림프구 백혈병 세포주(CEMss)에 대한 TQ의 영향도 조사되었습니다(107). TQ(0, 5, 10, 20 μg/ml)는 24시간 TQ 노출 후 IC50 값이 1.5±0.04 μg/ml로 세포 독성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또한 TQ는 용량 및 시간 의존적인 방식으로 ROS 생성을 증가시키고 세포 사멸을 촉진했으며, 카스파제 3, 8, 9의 활성 증가, Bcl-2의 발현 감소, Bax의 발현 증가(107)를 나타냈습니다. 같은 연구팀은 골수단핵구 백혈병의 특징을 가진 WEHI-3 세포주에 대한 연구를 확장했습니다. 연구팀은 TQ와 이 세포주 사이의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또한 연구팀은 TQ의 생체 내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WEHI-3 세포를 BALB/c 마우스에 주입했습니다. TQ는 용량 의존적인 방식으로 WEHI-3 세포에 세포 독성 및 세포 사멸 촉진 효과를 보였으며, 24시간 노출 후 IC50은 2.0±0.04 µg/ml였습니다. 또한 TQ는 WEHI-3 세포를 주입한 BALB/c 마우스의 비장과 간 크기를 감소시켰습니다(108).

 

The propensity of TQ to trigger apoptosis by generating ROS was demonstrated by using TQ (1, 5, 10, 40, or 100 µM) on several leukemic T-cell lines, HTLV-1 positive (MT-2 and HuT-102), and HTLV-1 negative (CEM and Jurkat) (109). TQ were toxic to HTLV-1 negative cells and also to HTLV-2 positive cells, although to a lesser extent. After 48 hr of TQ exposure, IC50 had the following values: 8 μM (CEM), 28 μM (Jurkat), 35 μM (MT-2), and 85 μM (HuT-102). More HTLV-1 negative cells than HTLV1 positive accumulated in sub-G1 phase, suggesting that the malignant HTLV-1 negative cells are more prone to TQ-induced apoptosis. This was confirmed by several other data generated by the study. While TQ induced modifications in both HLTV-1 positive and negative cells, the effects were stronger in HLTV1-positive cells, which displayed: mor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disruption and release of cytochrome c, more activation of caspases 3 and 9, more production of ROS, and a greater depletion of intracellular glutathione. These effects were not seen in normal PMBC (peripheral mononuclear blood cells), an observation that suggests a selective action of the TQ on the malignant lymphocytes (109). Other two recent studies revealed similar findings regarding the effects of TQ on leukemic T cell lines, namely decreased cell viability and induction of apoptosis (110, 111)a natural compound isolated fromNigella sativa, induces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 several cancer cell lin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Q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doxorubicine on the proliferation inhibition and apoptosis induction of TQ in a lymphoblastic leukemia cell line. Jurkat cell line was cultured in standard condition and with concentrations of TQ (0-30 μm. The involvement of the TGF family, TQ producing up-regulation of TGFβ1, and down-regulation of TGFα (111)there is no effective treatment for ATL. Thymoquinone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cancer properties.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the effects of TQ on proliferation, apoptosis induction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action in both HTLV-1 positive (C91-PL and HuT-102 was also shown.

ROS를 생성하여 세포 사멸을 유발하는 TQ의 성향은 여러 백혈병 T 세포주, HTLV-1 양성(MT-2 및 HuT-102) 및 HTLV-1 음성(CEM 및 Jurkat)에 TQ(1, 5, 10, 40 또는 100 µM)를 사용하여 입증되었습니다(109). TQ는 HTLV-1 음성 세포에 독성을 보였고, 그 정도는 덜하지만 HTLV-2 양성 세포에도 독성을 보였습니다. 48시간 TQ 노출 후 IC50은 다음과 같은 값을 보였습니다: 8 μM(CEM), 28 μM(Jurkat), 35 μM(MT-2), 85 μM(HuT-102). HTLV1 양성보다 HTLV1 음성 세포가 G1 미만 단계에서 더 많이 축적되어 악성 HTLV-1 음성 세포가 TQ에 의한 세포 사멸에 더 취약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는 연구에서 생성된 다른 여러 데이터에서도 확인되었습니다. TQ는 HLTV-1 양성 세포와 음성 세포 모두에서 변형을 유도했지만, 그 효과는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파괴 및 사이토크롬 c 방출 증가, 카스파제 3 및 9 활성화, ROS 생성 증가, 세포 내 글루타치온 고갈 증가를 보이는 HLTV1 양성 세포에서 더 강력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정상적인 말초 단핵구(PMBC)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악성 림프구에 대한 TQ의 선택적 작용을 시사하는 관찰 결과입니다(109). 최근의 다른 두 연구에서도 백혈병 T 세포주에 대한 TQ의 효과, 즉 세포 생존력 감소 및 세포 사멸 유도(110, 111)니겔라 사티바에서 분리된 천연 화합물은 여러 암 세포주에서 성장 억제 및 세포 사멸을 유도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림프모구 백혈병 세포주에서 TQ 단독 및 독소루비신과의 병용 투여가 TQ의 증식 억제 및 세포 사멸 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습니다. 유르캇 세포주는 표준 조건과 농도 (0-30 μm)의 TQ로 배양되었습니다. TGF 계열의 관여, TGFβ1의 상향 조절 및 TGFα의 하향 조절을 생성하는 TQ (111)ATL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습니다. 티모퀴논은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HTLV-1 양성 (C91-PL 및 HuT-102도 나타났습니다) 모두에서 증식, 세포 사멸 유도에 대한 TQ의 영향 및 기본 작용 메커니즘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TQ effects on lymphoma cells

림프종 세포에 대한 TQ 효과

 

The possible inhibitory role of TQ on lymphoma cells was analyzed through the effects of TQ on several pleural effusion lymphoma (PEL) cell lines such as BC-1, BC-3, BCBL-1, and HBL-6 (112). PEL is a rare type of lymphoma, appearing mostly in HIV-infected patients. It is associated always with human herpes virus 8. After 24 hr exposure of the PEL cell lines to increasing TQ concentrations (10, 25, and 50 μM), the growth of all PEL cell lines was inhibited by TQ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TQ was non-toxic to non-malignant cells, namely peripheral mononuclear blood cells obtained from healthy individuals. TQ also induced in PEL cell lines several apoptotic mechanisms: inhibition of the PKB/AKT signaling pathway, Bax up-regulation and Bcl-2 down-regulation, mitochondrial membrane disruption and cytochrome c release, caspases 3 and 9 activation, and PARP cleavage. As pre-treatment with N-acetyl-cysteine (a ROS scavenger) abrogates most of these phenomena, it is clear that the apoptosis triggered by TQ greatly depends on ROS produced (112).

림프종 세포에 대한 TQ의 억제 역할 가능성은 BC-1, BC-3, BCBL-1, HBL-6 등 여러 흉막 삼출 림프종(PEL) 세포주에 대한 TQ의 효과를 통해 분석되었습니다(112). PEL은 희귀한 유형의 림프종으로 주로 HIV에 감염된 환자에게서 나타납니다. 항상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 8과 관련이 있습니다. PEL 세포주를 농도 증가(10, 25, 50 μM)에 따라 24시간 노출시킨 결과, 모든 PEL 세포주의 성장이 용량 의존적인 방식으로 TQ에 의해 억제되었습니다. 또한 TQ는 비악성 세포, 즉 건강한 개인으로부터 얻은 말초 단핵구 세포에는 독성이 없었습니다. 또한 TQ는 PEL 세포주에서 PKB/AKT 신호 전달 경로의 억제, Bax 상향 조절 및 Bcl-2 하향 조절, 미토콘드리아 막 파괴 및 사이토크롬 c 방출, 카스파제 3 및 9 활성화, PARP 절단 등 여러 가지 세포 사멸 메커니즘을 유도했습니다. N-아세틸-시스테인(ROS 제거제)으로 전처리하면 이러한 현상의 대부분이 제거되므로, TQ에 의해 촉발되는 세포 사멸은 생성된 ROS에 크게 의존한다는 것이 분명합니다(112).

 

NFkB activation is the hallmark of activated B-cell lymphoma (ABC), one of the main types of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which in turn represents the most frequent type of non-Hodgkin lymphoma. The anti-apoptotic role of the NFkB signaling pathway in ABC was investigated based on TQ previously described pro-apoptotic properties (113). Thus, two ABC cell lines, namely HBL-1 and RIVA, were exposed to TQ using concentrations of 5 and 10 μM. TQ shut down the phosphorylation of p65 (a subunit of NFkB). On the other hand, the down-regulation of the p65 targets such as Bcl-2, Bcl-xL, or XIAP favored mytochondrial-induced apoptosis. All these consequences depended on the TQ dose used. TQ produced the release of ROS in ABC cells, mostly superoxide anion and hydrogen peroxide. Pre-exposure of the ABC cells to N-acetyl-cysteine inhibited the release of reactive oxygen species (113).

NFkB 활성화는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의 주요 유형 중 하나인 활성화 B세포 림프종(ABC)의 특징이며, 이는 비호지킨 림프종의 가장 흔한 유형입니다. ABC에서 NFkB 신호 경로의 항세포사멸 역할은 이전에 설명한 TQ의 전세포사멸 특성을 기반으로 조사되었습니다(113). 따라서 두 개의 ABC 세포주, 즉 HBL-1과 RIVA를 5 및 10 μM 농도의 TQ에 노출시켰습니다. TQ는 p65(NFkB의 하위 단위)의 인산화를 차단했습니다. 반면에 Bcl-2, Bcl-xL 또는 XIAP와 같은 p65 표적의 하향 조절은 근섬유 유도 세포 사멸을 촉진했습니다. 이러한 모든 결과는 사용된 TQ 용량에 따라 달라졌습니다. TQ는 ABC 세포에서 주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과 과산화수소인 ROS를 방출했습니다. ABC 세포를 N-아세틸-시스테인에 사전 노출시키면 활성 산소 종의 방출이 억제되었습니다(113).

 

Epstein-Barr virus, while asymptomatic in most of the individuals infected, is able to induce several types of lymphoid and epithelial neoplasms, such as Burkitt lymphoma,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Hodgkin lymphoma, or nasopharyngeal carcinoma. The relationship between TQ and EBV infected B lymphocytes was investigated (114). Several types of cells: EBV transformed B-cell lines (lymphoblastoid cell lines), an EBV-positive cell line (Raji), two EBV-negative cell lines (DG-75 and BL41), normal PBMC, and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were exposed to TQ (0.4-200 µmol/l) (114). TQ inhibited the growth of both EBV-positive and EBV-negative cell lines. After 24 hr of TQ exposure, the greatest inhibitory effect was seen in the case of lymphoblastoid cell lines (minimum IC50 was 0.99 +/- 0.02 μmol/l), followed by the Raji (EBV-positive) cell line (IC50 was 11 +/- 2.1 μmol/l), followed by the two EBV-negative cell lines (DG-75 and BL41) (IC50 were 20 +/- 2.1 and 16.24 +/- 0.31 μmol/l, respectively). TQ had the lowest toxicity against the normal fibroblasts from the periodontal ligament (IC50 was 85 +/- 6.5 μmol/l). The study revealed also other interesting findings. For instance, TQ induced apoptosis in lymphoblastoid cells, as demonstrated by TUNEL and caspase-3 assays. This effect was dose- and time-dependent. Moreover, TQ also inhibited the expression of several EBV genes, namely EBNA1, EBNA2, and LMP1, the effect being the strongest in the case of EBNA2 (114).

엡스타인-바 바이러스는 감염된 대부분의 사람에게 무증상이지만 버킷 림프종,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비인두암 등 여러 유형의 림프종 및 상피 상피 종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TQ와 EBV에 감염된 B 림프구 사이의 관계가 조사되었습니다(114). 여러 유형의 세포: EBV 형질 전환 B 세포주(림프모구 세포주), EBV 양성 세포주(Raji), 두 개의 EBV 음성 세포주(DG-75 및 BL41), 정상 PBMC 및 치주 인대 섬유아세포를 TQ(0.4-200 µmol/l)에 노출시켰습니다(114). TQ는 EBV(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양성 및 EBV 음성 세포주 모두의 성장을 억제했습니다. 24시간 TQ 노출 후 림프모구 세포주(최소 IC50은 0.99 +/- 0.02 μmol/l)의 경우 가장 큰 억제 효과가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EBV 양성 세포주(Raji) (IC50은 11 +/- 2.1 μmol/l), 두 개의 EBV 음성 세포주(DG-75 및 BL41)(IC50은 각각 20 +/- 2.1 및 16.24 +/- 0.31 μmol/l) 순으로 억제 효과가 컸습니다. TQ는 치주 인대의 정상 섬유아세포에 대한 독성이 가장 낮았습니다(IC50은 85 +/- 6.5 μmol/l). 이 연구에서는 다른 흥미로운 결과도 발견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TQ는 림프모구 세포에서 세포 사멸을 유도했으며, 이는 TUNEL 및 카스파제-3 분석에 의해 입증되었습니다. 이 효과는 용량과 시간에 따라 달라졌습니다. 또한 TQ는 여러 EBV 유전자, 즉 EBNA1, EBNA2, LMP1의 발현도 억제했는데, 그 효과는 EBNA2의 경우 가장 강력했습니다(114).

 

 

TQ effects on multiple myeloma cells

다발성 골수종 세포에 대한 TQ 효과

 

Multiple myeloma (MM) is a mature B-cell lymphoid neoplasm, arising from plasma cells. Although progress has been made regarding the treatment options, it remains a disease with a poor prognosis.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3 (STAT-3) activation signaling is common to several cancers, including MM. The effects of TQ on STAT-3 signalling, using U266 and RPMI 8226 MM cell lines were analysed (115). TQ had various, multiple effects on MM cells. Firstly, TQ markedly inhibited the constitutive phosphorylation of STAT-3, this effect being dose - and time-dependent. TQ displayed the greatest inhibition at around 15 μM, after around 4 hr of exposure. TQ inhibited not only the constitutive STAT-3 phosphorylation, but also that IL-6-dependent, a cytokine that is crucial in the pathogenesis of MM. The level of several proteins regulated by STAT-3, like cyclin D1, Bcl-2, Bcl-xL, survivin, Mcl-1, and VEGF significantly decreased upon TQ exposure, the effect being the greatest after 36-48 hr (115). Regarding the effects on cell cycle, TQ forced the MM cells to distribute in the pre-G1 phase, a phenomenon indicating apoptosis. In fact, it seems that STAT-3 suppression by TQ promotes apoptosis by activation of caspase-3, which in turn cleaves the PARP protein.

다발성 골수종(MM)은 형질 세포에서 발생하는 성숙한 B세포 림프종양입니다. 치료 옵션에 대한 진전이 있었지만 여전히 예후가 좋지 않은 질환입니다. 신호 전달자 및 전사인자-3(STAT-3) 활성화 신호는 MM을 포함한 여러 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납니다. U266 및 RPMI 8226 MM 세포주를 사용하여 TQ가 STAT-3 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115). TQ는 MM 세포에 다양하고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첫째, TQ는 STAT-3의 구성적 인산화를 현저하게 억제했으며, 이러한 효과는 용량과 시간에 따라 달라졌습니다. TQ는 약 4시간 노출 후 약 15μM에서 가장 큰 억제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TQ는 구성적인 STAT-3 인산화뿐만 아니라 다발성 경화증의 발병에 중요한 사이토카인인 IL-6 의존성 인산화도 억제했습니다. 사이클린 D1, Bcl-2, Bcl-xL, 서바이빈, Mcl-1, VEGF 등 STAT-3에 의해 조절되는 여러 단백질의 수준은 TQ 노출 시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그 효과는 36-48시간 후에 가장 컸습니다(115). 세포 주기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TQ는 세포 사멸을 나타내는 현상인 G1 전 단계에 MM 세포를 강제로 분포시켰습니다. 실제로 TQ에 의한 STAT-3 억제는 카스파제-3의 활성화에 의해 세포 사멸을 촉진하고, 이는 다시 PARP 단백질을 절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The effects of TQ on MDN and XG2-MM cell lines was also investigated (116). In general, they observed similar effects of TQ on MM cells, as those reported by Li et al. (2010). TQ had dose- and time-dependent cytotoxic effects on both cell lines, the IC50 being 10 μM (MDN cell line) and 8.5 μM (XG2 cell line), respectively. The effect was at peak intensity after 12 hr of TQ exposure. In both MDN and XG2 cells, TQ also inhibited the IL-6-dependent growth. In both MDN and XG2 cell lines, TQ markedly decreased the level of CXCL-12-dependent actin polimerization, a process essential for the dynamics of multiple myeloma cells. Finally, TQ decreased the level of STAT-3 phosphorylation, but not of STAT-5. The level of several proteins regulated by STAT-3 activation, such as Bcl-2 and Bcl-XL was also diminished (116)the major active component of the medicinal herb Nigella sativa Linn., has been described as a chemopreventive and chemotherapeutic compound. METHO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Q on survival, actin cytoskeletal reorganization, proliferation and signal transduction in multiple myeloma (MM. These observations also parallel the data reported by Li et al. (2010).

MDN 및 XG2-MM 세포주에 대한 TQ의 효과도 조사되었습니다(116). 일반적으로 Li 등(2010)이 보고한 것과 같이 MM 세포에 대한 TQ의 효과는 비슷하게 관찰되었습니다. TQ는 두 세포주 모두에서 용량 및 시간 의존적인 세포 독성 효과를 보였으며, IC50은 각각 10 μM(MDN 세포주) 및 8.5 μM(XG2 세포주)이었습니다. 이 효과는 12시간의 TQ 노출 후 최고 강도로 나타났습니다. MDN과 XG2 세포 모두에서 TQ는 IL-6 의존적 성장도 억제했습니다. MDN 및 XG2 세포주 모두에서 TQ는 다발성 골수종 세포의 역학에 필수적인 과정인 CXCL-12 의존성 액틴 중합 수준을 현저하게 감소시켰습니다. 마지막으로, TQ는 STAT-3 인산화 수준은 감소시켰지만 STAT-5는 감소시키지 않았습니다. Bcl-2 및 Bcl-XL과 같은 STAT-3 활성화에 의해 조절되는 여러 단백질의 수준도 감소했습니다 (116)약초 Nigella sativa Linn. 의 주요 활성 성분은 화학 예방 및 화학 요법 화합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연구 방법 이 연구에서는 다발성 골수종(MM)의 생존, 액틴 세포 골격 재구성, 증식 및 신호 전달에 대한 TQ의 효과를 조사했습니다. 이러한 관찰은 Li 등(2010)이 보고한 데이터와도 유사합니다.

 

 

TQ as a synergic therapeutic agent in the treatment of hematological malignancies and other cancers

혈액 악성 종양 및 기타 암 치료에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치료제로서의 TQ

 

The combined effects of TQ and doxorubicin were investiga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two had a synergistic effect (110). This is not surprising,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synergism between TQ and various chemotherapeutic agents has been described previously. For instance, Effenberger-Neidnicht and Schobert (2011) analyzed the combined effects of TQ and doxorubicin on several cell lines originating from various human cancers. A synergistic effect between TQ and doxorubicin was noted in the case of HL-60 leukemia cell line and multidrug resistant MCF7/TOPO (topotecan resistant) breast carcinoma cell line (117). A synergism between TQ and gemcitabine and oxaliplatin in pancreatic cancer cells was also reported (118). Importantly, pre-exposure to TQ favored chemosensitization to gemcitabine and oxaliplatin, rather than their co-administration (118). The synergism between TQ and cisplatin in both non-small cell and 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s was described (119). They replicated these in vitro data in an in vivo mouse xenograft model (119). Next, the synergism between TQ and topotecan, a topoisomerase I inhibitor, in acute myelogenous leukemia cell lines was reported (120). Again, it seems that pre-exposure to TQ before topotecan exposure has more cytotoxic effects than their co-administration (120). TQ also potentiates thalidomide and bortezomib in inducing apoptosis in MM cells (115). The synergism between TQ and bortezomib both in vitro, on various MM cell lines, and in vivo, on a xenograft mouse model were also investigated (121). Also, the synergistic effect between TQ and temozolomide (TMZ) was reported (122). A higher decrease was observed in brain cancer cell (human glioblastoma cell line (U87MG)) viability when these drugs were used in combination (20 µM of TMZ and 50 µM of TQ) rather than when they were used alone (122). It was suggested that autophagy blockage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by TQ reduced the resistance mechanism of these cells to TMZ.

TQ와 독소루비신의 복합 효과를 조사한 결과, 이 두 가지가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10). TQ와 다양한 화학 요법제 간의 시너지 효과가 이전에 설명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Effenberger-Neidnicht와 Schobert(2011)는 다양한 인간 암에서 유래한 여러 세포주에 대한 TQ와 독소루비신의 결합 효과를 분석했습니다. HL-60 백혈병 세포주와 다제내성 MCF7/TOPO(토포테칸 내성) 유방암 세포주(117)의 경우 TQ와 독소루비신 간의 시너지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췌장암 세포에서 TQ와 젬시타빈 및 옥살리플라틴 간의 시너지 효과도 보고되었습니다(118). 중요한 것은 TQ에 사전 노출되면 젬시타빈과 옥살리플라틴을 병용 투여하는 것보다 화학감작에 유리하다는 점입니다(118).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폐암 세포주 모두에서 TQ와 시스플라틴 간의 시너지 효과가 설명되었습니다(119). 연구진은 이러한 체외 데이터를 생체 내 마우스 이종 이식 모델에서 복제했습니다(119). 다음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세포주에서 TQ와 토포이소머라제 I 억제제인 토포테칸의 시너지 효과가 보고되었습니다(120). 다시 말하지만, 토포테칸에 노출되기 전에 TQ에 사전 노출되면 병용 투여보다 세포 독성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보입니다(120). 또한 TQ는 탈리도마이드와 보르테조밉을 강화하여 MM 세포에서 세포 사멸을 유도합니다(115). 시험관 내 다양한 MM 세포주 및 생체 내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TQ와 보르테조밉의 시너지 효과도 조사되었습니다(121). 또한 TQ와 테모졸로마이드(TMZ) 간의 시너지 효과도 보고되었습니다(122). 이들 약물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병용(TMZ 20 µM, TQ 50 µM)했을 때 뇌암 세포(인간 교모세포종 세포주(U87MG))의 생존율이 더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122). TQ에 의한 전사 수준에서의 자가포식 차단이 이들 세포의 TMZ에 대한 내성 메커니즘을 감소시킨 것으로 추정됩니다.

 

Also, this synergism can be translated in real life by TQ potential to reduce the side effects in different therapies. In this sense, some studies have already revealed promising results. For instance, cardiotoxicity might appear following treatment with anthracyclines, such as doxorubicin. Accordingly, it was demonstrated that TQ could lower the risk of doxorubicin-induced cardiotoxicity, without compromising its anti-cancer properties (123-125).

또한 이러한 시너지 효과는 실제 생활에서 다양한 치료법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TQ 잠재력으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일부 연구에서는 이미 유망한 결과가 밝혀졌습니다. 예를 들어, 독소루비신과 같은 안트라사이클린 치료 후 심장 독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Q는 항암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독소루비신으로 인한 심장 독성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123-125).

 

Although the number of studies perfo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 sativa and hematological malignancies is limited, they all demonstrated the anti-proliferative, cytotoxic, and pro-apoptotic effects of its bioactive compound, namely the TQ. However, w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at these studies mainly used in vitro models. These results should be further explored in in vivo models, and then in clinical trials. These clinical trials should probably combine TQ and various chemotherapeutic agents used in the treatment of the hematological malignancies. We could identify several reasons for this approach: first, there is evidence of a synergism between these medicines and TQ, at least in vitro. Second, TQ could have the potential to reduce the toxicity associated with various chemotherapeutic agents. Third, the evaluation of TQ alone, as single agent in the treatment of hematological malignancies, would not be acceptable right now, as data regarding TQ action in vivo are

N. sativa와 혈액 악성 종양 사이의 관계에 대해 수행된 연구의 수는 제한적이지만, 이들 연구는 모두 생리 활성 화합물, 즉 TQ의 항증식, 세포 독성 및 세포 사멸 촉진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주로 시험관 모델을 사용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생체 내 모델과 임상 시험에서 더 자세히 살펴봐야 합니다. 이러한 임상 시험은 아마도 혈액암 치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화학 요법제와 TQ를 결합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에 대한 몇 가지 이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첫째, 적어도 시험관 내에서 이러한 약물과 TQ 간의 시너지 효과에 대한 증거가 있습니다. 둘째, TQ는 다양한 화학요법제와 관련된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셋째, 생체 내 TQ 작용에 관한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에 혈액 악성 종양 치료의 단일 약제로서 TQ만 단독으로 평가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Conclusion (결론)

Medicinal plants are used as alternative treatment therapies in several chronic diseases because of their reduced side effects and costs. Within this study, the potential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N. sativa in relation to different types of chronic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Since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are strongly interconnected pathophysiological processes that are influencing themselves, the most recent references in regards to the experimental settings focused on both processes were analyzed. Studies have indicated that the use of black cumin in its different forms (as seeds, oil, or different extracts) can be used successfully in the treatment of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Also, it was shown that because of its pharmacological properties lik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pro-apoptotic, N. sativa can be a valuable ally against cardiovascular diseases, diabetes and hematological malignancies. Future evidence based studies are needed to encourage the use of N. sativa in the management of these diseases or in the management of the side effects caused by the aggressive treatments.

약용 식물은 부작용과 비용을 줄이기 때문에 여러 만성 질환의 대체 치료 요법으로 사용됩니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만성 질환과 관련하여 N. sativa의 잠재적인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했습니다.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된 병리 생리학적 과정으로 서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두 가지 과정에 초점을 맞춘 실험 환경과 관련하여 가장 최근의 참고 문헌을 분석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블랙 커민을 다양한 형태 (씨앗, 오일 또는 다른 추출물)로 사용하면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항염증, 항산화, 세포 사멸 억제와 같은 약리 특성으로 인해 강황은 심혈관 질환, 당뇨병 및 혈액 악성 종양에 대한 귀중한 동맹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질병을 관리하거나 공격적인 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관리하기 위해 N. sativa의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향후 증거 기반 연구가 필요합니다.

 

ACKNOWLEDGEMENTS (승인)

This research did not receive any specific grant from funding agencies in the public, commercial, or not-for-profit sectors.

이 연구는 공공, 상업 또는 비영리 부문의 자금 지원 기관으로부터 특정 보조금을 받지 않았습니다

 

Conflicts of Interest (이해상충)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s of interest.

저자는 이해 상충이 없음을 선언합니다.

 

REFERENCES (참조) - 생략